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2) 황무지 상태의 시스템 설계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고도의 설계도구를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중요하다. 우리나라 경우 컴퓨터 분야의 설계
능력
을 가진 전문가도 아직 드물고, 협동작업의 경험이란 대형 프로젝트 경험이 있어야 정착되는데 이러한 개발이 일천한 상태다. 또한 협동작업이란 교육 등 일반 사회문화적인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우리 ... ...
아인슈타인의 인과율에 도전하는 초감각지각(ESP)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이 문제는 초기에 매우 높은 자질을 보이던 피실험자가 오랜 횟수를 반복한 후에는 그
능력
이 점점 저하돼 종국에는 확률정도로 기대되는 수준에 머물게 되는 것으로 ESP가 허구임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좋은 표적이 되어왔다. 하지만 라인박사는 ESP가 결국 인간의 심리적인 조건에 크게 좌우되기 ... ...
(1) 컴퓨터를 가전제품처럼 쓸 수 없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대해 컴퓨터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질문을 던질 수 있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능력
을 컴퓨터가 가지려면 컴퓨터 프로그램이 스스로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이 무엇이고 현재 어디까지 진행되고 있는가를 파악해야 한다.기존의 프로그램 언어로 구성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스스로 자신이 하고 ... ...
「노화 유전자」후보들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분열
능력
을 잃어버린다. 이것이 바로 노화(老化)의 정체다. 이처럼 세포가 노화, 즉 분열
능력
을 잃어버리는데 간여하는 유전자(노화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인간의 폐나 신장 등 여러 장기들로부터 세포를 추출해 유리그릇속에서 배양하면 약 50회 정도 분열하고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해나갔다. '양의 교육보다는 질의 교육을 해야한다, 자격을 따는 교육이 아니라 연구
능력
을 갖추는 교육이 필요하다' 등등. 말이 나온 김에 평소 생각들을 쏟아놓았다."공업화를 하는데 기술을 아는 사람도 없고 기술을 어디서 가져와야 된다는 것도 모르고 기술을 만들어낼 줄도 모르는 ... ...
(5) 신경망컴퓨터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저 무한한 우주의 영원한 침묵'을 경험한 사람들은 신비주의자나 도덕론자들이 아니라
능력
껏 자신들의 지성을 밀고나갔던 사람들이었다. 비행기를 만들면서 역설적으로 새의 아름다움을 더욱 사랑할 수 있듯이 신경망 연구는 그 출발점에서 두뇌를 모델로 하면서 인간의 신비로움을 자각하는 ... ...
과학용어의 비과학적 사용 삼가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는 컴퓨터를 만든다는 최종목표의 시발점에 머물러 있다. 비유컨대 세살바기의 지적
능력
을 따라가는 것도 요원한 일인 것이다.이렇게 최고수준의 학문이 지향하는 트레이드 마크인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거침없이 가전제품에 붙이는 것은 다소 어이없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아주 먼 ... ...
AIDS비상, 환자관리 이상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처리를 태만히 한 결과다. HIV는 열에 매우 약하므로 56℃ 정도의 열처리를 하면 혈액응고
능력
의 소실없이 HIV의 전파를 막을 수 있다.HIV에 감염됐거나 감염의 가능성이 많은 여성은 임신을 하면 안된다. HIV감염이 의심되는 사람은 임신 전에 반드시 항체검사를 받아야 한다. 만약 임신이 이미 성립된 ... ...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효율적 유기적으로 엮고 필요한 연구개발수요를 찾아 추진하는 정부의 관리
능력
과 일관된 국가과학기술계획이다. 이점에서 정부정책의 일관성은 '낙제점'이라는게 중론이다. 과학기술을 둘러싼 상황의 변화에 따라 정책의 기조가 바뀌기 일쑤여서 정책의 융통성(?)이 너무 크다는 지적이다.현재 ... ...
화성을 「제2의 지구」로 만들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화성의 열악한 환경을 이겨내고 살아남기 위해서 인간자신도 유전공학을 이용해 어떤
능력
을 선택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하인즈박사같은 개발낙관론자들조차도 이런 견해는 강력히 반박하고 나선다. 하인즈 박사는 "화성의 대기는 인간이 적응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 있다. ... ...
이전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