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립과학수사 연구원 사건의 진실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과학 수사를 통해 사건을 밝히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연구원들이 정말 멋지지 않니? 이
곳
에서 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유전자분석팀의 최동호 박사님께 여쭈어 봤어.범죄 사건의 증거를 분석한다니 좀 무섭지만 아주 멋져 보여요. 어떻게 하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일할 수 있나요 ... ...
퍼팅 성공률을 높여주는 지점이 있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구멍으로부터 거리가 같은 몇 군데서 공이 굴러가는 경로를 생각해 이들이 만나는
곳
을 찾아내면 된다는 설명이다. 이달에 만나는 수학자1789년 8월 21일 코시 탄생오귀스탱 코시는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나 16세에 에콜 폴리테크니크에 입학한 뒤 수석으로 졸업했다.토목기사로 활동하며 수학 연구를 ... ...
대칭 몸매에 행운이 따르는 팔방미인의 수 8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8자를 집어넣는 경우가 많고, 중국 고층 건물 가운데에도 유난히 88층으로 이뤄진
곳
이 많다고 해.8에 대한 중국인들의 유별난 사랑은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 바로 2008년 8월 8일 오후 8시에 베이징올림픽 개막식이 시작됐지. 8로 수놓인 베이징올림픽 개막식 시간은 기상이나 다른 ... ...
PART 3 미녀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높이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필요한 이유는 착지 때문이에요.멀리뛰기에서 최종기록은 신체의 어디든 바닥에 닿은
곳
을 기준으로 해요. 착지를 잘못해서 엉덩이나손이 닿으면 기록에서 큰 손해를 본답니다. 다리를 최대한 앞으로 뻗고 가능하면 앞으로 넘어지려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예요.과학자들은 사람이 멀리 뛸 수 있는 ... ...
수학적 원리 알면 새 주소가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팻말은 사임당로 92지점에 세워져 있는 것이다. 사임당로의 전체 거리는 약 2.5km인데 이
곳
은 920m 지점이며, 사임당로 끝까지 약 1.58km[(250-92)×10m]가 남았다는 사실을 알려준다.건물이 어떤 용도로 쓰이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도 있다. 비밀은 건물번호판의 모양에 있다. 집이나 아파트처럼 주거용 ... ...
PART 2 헤라클레스보다 더 멀리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창 위쪽의 공기흐름이 아래쪽보다 빨라요.‘베르누이 정리’에 따르면 공기흐름이 빠른
곳
은 압력이 낮아져요. 그래서 창이 양력을 받아 뜨게 된답니다. 양력을 받은 창은 당연히 더 멀리 날아가고요.선수들의 노력이 거듭되면서 1984년 창던지기에서 104.8m라는 기록이 나왔어요. 관중이 위험할 수 ... ...
시베리아 횡단열차 살인미수 사건①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특실에 갈 수 없었어요. 우리가 판 승차권을 가지고 있었잖아요. 그런데 그 아저씨가 그
곳
에서 쓰러졌다는 건 뭔가 있는 거죠.”의문의 남자, 세르게이의 정체는? 과연 어떤 사건이 벌어진 걸까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자원 개발에 쓰이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그 동안 얻지 못하던
곳
에서 자원을 얻는 방식이다. 해수 리튬은 바로 마지막 예다.그런데 왜 하필 바다일까. 바다 속 리튬 함량은 1L에 0.00017g. 휴대용 생수병 10만 개 분량의 바닷물에 겨우 100원짜리 동전 세 개(약 16g)보다 약간 많은 ... ...
최후의 1%까지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펜실베니아대는 세계 최초의 전기 컴퓨터인 에니악이 탄생한
곳
이다. 필자는 그
곳
에서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임베디드 컴퓨터 시스템 개발 방법을 연구했다. 그리고 지금은 이 분야에서 유명한 소프트웨어인 시뮬링크(Simulink)를 개발하는 매스웍스사에서 개발자로 일하고 있다. 컴퓨터 구조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격리시켜 두고 있을 뿐이라고 주장하는 과학자도 있다. 베너 박사는 “비소를 지질 같은
곳
에 모아 두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 박테리아에서 발견된 액포 같은 구조도 이런 주장을 뒷받침한다.비소를 흡수하는 유전자변형 식물을 개발한 이영숙 교수도 이 박테리아의 액포가 비소를 ... ...
이전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4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