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인간의 좋은 친구로 격상시킬 것이다.하나가 기생충으로 암을 치료하려는 것이다.
서울
대 의대 채종일 교수는 “톡소포자충이라는 기생충에 감염되면 몸 안에서 자연살해세포라는 면역세포가 늘어난다는 보고가 있다”고 밝혔다. 자연살해(NK)세포는 혈액 내 백혈구의 일종으로 체내에서 암세포를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다른 것과 비슷하다. 출혈의 상태를 근거로 한 수사관 원규의 판단은 지금도 유효하다.
서울
대 법의학과 이윤성 교수는 “무원록은 색깔에 대해 자주 언급하는데 과장된 표현이 많다”며 “다만 살아서 창에 찔린 경우 쏟아지는 피가 조직 속으로 들어가 찔린 부위가 빨갛게 보이는 것은 ... ...
인터넷 종량제 논란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교수는 또 “사용량이 많은 수도권의 경우 KT망 외에도 두루넷이나 지역케이블망, 한전과
서울
시가 운영 중인 전용 통신선로가 많다며 이들을 공동 운영하는 방안이 있다”고 제시한다. 결국 KT가 주장하는 회선 부족 현상은 KT망에 한해 적용되는 말이라는 얘기다.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임종인 ... ...
의사가 안내하는 몸속 미시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붉은 점은 슈반세포의 핵이다. 08. 벚꽃 사이로 보이는 하늘 서연림성균관대 의대 삼성
서울
병원 병리과흐드러지게 핀 봄의 여왕 벚꽃. 꽃잎과 줄기 사이로 파란 하늘이 살짝살짝 보인다. 줄기에 해당하는 부분은 사실 뇌에 있는 별아교세포의 돌기. 이 세포가 갖고 있는 세포골격단백질에 대한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나라의 규정을 따라야 하는지명확히 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황 교수 연구에는
서울
대 수의대, 의대, 농업생명과학대, 한양대 의대, 미즈메디병원, 하나병원 소속 한국인 24명 외에 미국 피츠버그대 의대 제럴드 섀튼 교수도 참여했기 때문.저자들은 난자 제공자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동의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의심해봐야 한다. 사람 사귀기를 기피하고 주의력이 산만한 것도 의심해 볼만한 근거다.
서울
대 의대 신경정신과 권준수 교수는 “정신분열병은 심리적 요인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실제로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뇌 발달 장애가 주된 발병요인”이라고 설명한다.태아기나 초기 유년기에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그래서 데이터가 제멋대로 흘러나와 오염되거나 사라진다. 이것이 양자역학적 한계다.
서울
대 재료공학부 황철성 교수는 “2015년 쯤 20nm 트랜지스터가 상용화될 것이며, 2020년까지는 지금의 플래시메모리가 계속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그 다음은? 삼성전자를 비롯해 세계 반도체 ... ...
"모터 없이 달리는 자동차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만드는데 노력하고 있다고 해요. 이렇듯 멋지고 환상적인 과학교육을 하고 있는
서울
신계초등학교에서 미래를 이끌어갈 과학자가 많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 ...
나노 눈으로 세상을 보는 탐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박사님의 웃음소리를 함께 들어 볼래요? ★문대원 박사님은1952년 경남 사천 출생1975
서울
대학교 화학과 졸업1977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석사1984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화학과 박사1984-1985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박사후 연구원2001-2002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재료학과 초청교수2001 과학기술부 ... ...
물리가 세계를 비추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오징어잡이 배들은 동시에 불을 밝혀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세계에 알렸다. 종착지
서울
에 머물던 빛은 오후 9시 정각 중국 베이징으로 떠났다.빛의 축제 운영위원장으로 태평양을 건너 온 빛을 제일 먼저 받은 부산대 물리학과 한창길 교수는 "빛을 평양으로 보내지 못해 아쉽다"며 "아인슈타인의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