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이 즐거워지는 마법퍼즐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경우는 숫자만 바꿔 끼우면 되니까 여러 답을 구해 보게 돼요.학생들이 직접 퍼즐을
보고
만지고 생각하면 사고력도 좋아지고 수학 수업도 즐기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내는 거지요.앞으로 선생님의 꿈은 무엇인가요?서울과 가까운 곳에 수학박물관을 만들고 싶어요. 아이들한테 백 번 수학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발음이 왠지 더 잘 어울리듯 우동도 마찬가지다. 탱글탱글한 우동 면발을
보고
있으면 ‘가락국수’라는 순화된 표현보다 일본어 그대로‘우동’이라는 발음이 그 맛을 더 잘 표현하는 듯하다.우동은 밀가루 속 글루텐의 성질을 최대한 살린 면이다. 중국의 수타면처럼 반죽을 손으로 잡아당겨 ... ...
언제 어디서나 재잘재잘 twitter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어떤 상대와 일촌이 되고 싶으면‘신청’을 해야 한다. 상대는 신청한 사람을 확인해
보고
‘수락’ 여부를 결정한다. 수락하면 나와 상대는 일촌이 된다. 전형적인 쌍방향 관계 맺기다. 트위터에서도 팔로잉을 건 상대를 차단할 수 있지만 이는‘사전’이 아닌‘사후’조치라는 점이 다르다 ... ...
오감으로 관람하는 체험형 과학전시회 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다양한 테마관도 놓치지 말자. 화학관에서는 다양한 원소들의 쓰임새와 구조를 살펴
보고
물질의 혼합법과 분리법을 배울 수 있다. 온실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살펴볼 수 있다. 누에가 고치를 만드는 장면과 장수풍뎅이 애벌레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곤충관도 흥미롭다.박물관은 평일 ... ...
이종장기 연구용 돼지 지노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제품은 지금까지도 일부 화상환자에게 쓰이고 있으며, 의학적으로 특별한 부작용에 대한
보고
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지금까지의 이종장기이식은 대부분 선택할 수 있는 다른 치료법이 없고 이식용 사람 장기도 없을 때 마지막 희망을 줄 수 있는 수단으로 연구수준에서 시도돼왔다. 하지만 최근 이 ... ...
신종 플루 팬데믹 공포, 한반도 피해는 이제 시작!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어떤 방향으로 사태가 전개될지 누구도 짐작할 수 없다. 유럽질병통제예방센터의
보고
서의 한 대목처럼 신종 플루에서 유일하게 예측할 수 있는 건 신종 플루의 예측불가능성뿐이므로. 신종 플루로 휘청거리는 아르헨티나 8월 24일 현재 신종 플루 사망자 수 439명으로 미국(522명)에 이어 두 번째로 ... ...
첨단 연구장비 활용과 개발 지원하는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요리를 뚝딱 만들어낸다는 광고를
보고
최첨단 외제 오븐을 하나 샀다. 사용설명서를
보고
이것저것 눌러 보다가 고장을 내 버렸다. 그래서 기계를 구입한 회사에 어렵게 연락해서 수리했다. 그런데 요리를 하려고 사용설명서를 자세히 보니 내가 원하는 요리를 할 수 있는 오븐이 아니었다. 만약 ... ...
서류-면접만으로 100% 선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내외의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지원자에 따라 면접 소요시간이 제각각이다.잠재력면접만
보고
심층면접은 면제될 경우 총 소요시간은 20분이다. 심층면접에서 한 과목만 볼 경우 잠재력면접 20분에 심층면접 20분을 더해서 총 40분 내외가 걸린다. 심층면접에서 수학, 과학 모두 봐야 할 경우의 ... ...
“사슴벌레 기르는 SW로 아프리카 굶주림 해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이 사육 장비를 와프리팀은 대당 40~50달러(5만~6만 2000원)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최대한 값이 싼 부품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가난하더라도 약간의 경제적 지원을 받으면 집안에 든든한 식량 창고를 들여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슴벌레는 6개월이면 사람이 먹을 수 있을 정도로 ... ...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설명회 때 제공한다. 이를 근거로 학생들은 약 10개월 동안 실제로 결정을 만들면서
보고
서를 작성해 최종 완성한 결정과 함께 단결정은행에 제출한다. 결정 표면을 현미경으로 촬영해 제출하기도 한다. 심사결과 뽑힌 우수한 학생들은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대상), 한국물리학회장상(금·은·동상)과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