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생체열쇠 - 둘] 홍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아무리 봐도 지문 인식기가 없네. 그럼 지문으로 여는 건 아닌가 보군. 앗? 저기 저건 카메라? 아, 그래! 최근에 카메라가 홍채를 인식하자 스마트폰 잠금이 해제되는 모습을 광고에서 본적이 있어. 그렇다면 홍채가 열쇠?양쪽 눈도 서로 다른 홍채의 근육 모양!우리 눈을 가까이 들여다보면 큰 원 안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밝게 보이는 것은 시각이 잘못됐기 때문은 아니랍니다. 김성호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는 “사람도 인공 시각 시스템같이 눈(망막)에 비친 A와 B 구역의 색깔만 판단한다면 두 구역 색은 똑같아 보일 것”이라고 말했어요.하지만 사람의 뇌는 두 구역과 그 주변 색에 대한 시각 정보, 그리고 ... ...
Part 1. 몸이 열쇠가 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보물 상자가 있다는 박물관에 왔어. 보물 상자를 발견하자마자 만능열쇠를 써 보려 했지만 열쇠를 넣을 구멍조차 없네? 이곳저곳을 둘러 봐도 상자를 열 수 있는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 흠…, 역시 소문대로 만만치 않군. 어? 그런데 상자 바닥에 이상한 글이 써 있네?‘보물 상자의 열쇠는 몸에 있다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따라 걸음걸이를 구분할 수 있는지 분석하고 있지요. 반상우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는 “그동안 걸음걸이는 질병이 있거나 걸음걸이가 아주 독특할 때만 활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일반적인 신체 특징에 따라 걸음걸이가 달라진다는 사실이 밝혀진다면 범인을 찾는 데 매우 ... ...
[과학뉴스] 2016년 노벨상의 주인공은 아주 작은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미국 노스웨스턴대 프레이저 스토다트
교수
, 네덜란드 흐로닝언대 베르나르트 페링하
교수
가 공동 수상했어요. 분자기계는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정도인 나노미터(nm, 1nm=10억 분의 1m) 크기에 불과해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로 불린답니다.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은 분자 한 두 개를 연결해 외부 ... ...
INTRO. 거꾸로 보면 작아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연구가 하나 더 있어요. 의학상을 받은 독일 뤼벡대학교 신경학과 크리스토프 헬름첸
교수
는 오른팔을 긁어서 왼팔이 시원해지는 방법을 알아냈답니다. 그 비밀은 바로 거울이었어요.연구팀은 양팔 가운데에 거울을 놓고 오른팔을 비추게 했어요. 거울에 비친 자신의 오른팔을 본 사람은 이것이 ... ...
Part 5. 생체 정보, 딥러닝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찰칵’ 하는 소리와 함께 빛이 번쩍거렸어. 보물 상자가 열릴 줄 알았는데 아뿔싸! 내가 보물 상자를 노리고 있다는 사실을 들켰지 뭐야. 경보음이 시끄럽게 울리고 경찰들이 뛰어 오는 소리가 멀리서 들려. 이럴 때가 아냐. 일단 도망가자! 사람 많은 곳으로 들어가면 날 찾기 힘들겠지?! 스스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같은 모형이라도 달라 보였던 거예요.오른팔을 긁어서 왼팔의 가려움을 해소한 헬름첸
교수
의 실험도 마찬가지랍니다. 오른팔이 긁히는 촉각을 느끼는 상황에서 오른팔을 볼 때와 왼팔을 볼 때의 감각통합 결과가 달라져요. 만약 오른팔을 보면서 오른팔이 긁히는 촉각을 느꼈다면 오른팔의 ... ...
[도전! 코드마스터] 내 컴퓨터로 복잡한 뇌 구조를 밝힐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더 정교해서 정확한 지도를 완성할 수 있지요.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승현준
교수
는 2012년, 당시 인기 있던 모바일 게임 ‘앵그리버드’에 전세계 사람들이 쏟은 시간을 모두 합치면 600년이 넘는다는 사실에 주목했어요. 그리고는 이런 시간을 뇌 연구에 쓸 수 있다면 좋겠다는 마음에서 뇌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절대 변하지 않는 지문! 지문은 태아 상태로 엄마 뱃속에서 자라는 동안 손가락 피부가 만들어질 때 생기는 주름이에요. 각자의 피부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엄마 뱃속에서 함께 자라는 쌍둥이도 서로 다를 정도로 고유한 정보지요.이러한 사실은 1800년대 중반 처음 밝혀졌어요. 영국의 의사였던 헨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