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응용과학
d라이브러리
"
과학기술
"(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김치는 얼마나 맛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자랄까.최근 선발된 최초 한국 우주인이 답을 찾아야 할 ‘임무’ 18개가 공개됐다.
과학기술
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한국 우주인이국제우주정거장에서 할 실험 18개를 선정해 최근 발표했다. 이 중에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기발한 아이디어도 5개나 된다.우리가 쓰는 펜은 중력 때문에 ... ...
2030 과학혁명 세상을 바꿀
과학기술
난제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치료가 가능하지 않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과학혁명 세상을 바꿀
과학기술
난제에 도전한다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 ...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어떤 ‘마음’이 필요할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과학혁명 세상을 바꿀
과학기술
난제에 도전한다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실타래는 바로 희망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30 과학혁명 세상을 바꿀
과학기술
난제에 도전한다 1. 우주 최대 난제 암흑에너지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 ...
30년만에 독일서 재회한 대형전파망원경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전파망원경에 이어 세계 두번째 크기를 자랑하는 이 망원경은 당시나 지금이나 독일
과학기술
의 상징적 존재다. 전망대에서 보던 그 망원경의 모습이란 천문학에 이미 뜻을 두고 있던 어린 필자의 눈에는 ‘미래로 통하는 문’처럼 보였다. 필자가 독일어로 “난 천문학자가 되고 싶어요”(Ich hoffe ... ...
말라리아 약초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지난 1500년 동안 개똥쑥은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말라리아를 치료하는데 사용돼 왔다. 개똥쑥에서 추출한 아르테미신(Artemisin)이 말라리아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개똥쑥을 이용한 이 약은 30초마다 한명씩 죽어가는 말라리아 환자들에게 희망을 준다.반강자성체의 전자(電子) 스핀 ... ...
한국 우주인후보, 크리스마스에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무중력훈련을 하고 수중에서 모의 국제우주정거장을 체험하기도 했다. 이들의 경험을
과학기술
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과학문화재단의 도움을 받아 생생하게 재구성해 봤다.비행기 타고 무중력을 즐기다 12월 3일 8명을 태운 비행기는 오후 5시 인천공항을 출발해 현지시간 밤 10시 30분에야 ... ...
"과학은 꼿꼿하고 떳떳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축복받은 공학인’이라구요? 허허~ ‘일 복(福) 받은 공학인’이 아닐까요? 요즘처럼 일을 하고 싶어도 마땅한 일거리가 없는 세상에 공학인은 할 ... 원장 / 1998 SK텔레콤 부회장 / 1999 초당대학교 총장 / 1999
과학기술
부 장관 / 2004 국제
과학기술
협력재단 이사장 / 2004 전자무역추진위원회 ...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1998년 남 교수팀은 20펨토초 3테라와트의 티타늄사파이어 레이저 개발에 성공했고 1999년
과학기술
부에서 지원하는 창의적연구진흥사업의 하나로 지정됐다.펨토초 레이저로 결맞는 X선을 얻는 방법은 이렇다. 먼저 펨토초 레이저 펄스를 헬륨이나 아르곤, 네온과 같은 기체 원자에 쪼인다. 이때 ... ...
40나노 반도체’올해 최고의 과학 뉴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1호
개발한 나노 반도체가 올해 최고의 과학 뉴스에 선정됐다. 한국
과학기술
단체총연합회는 최근 올해의 과학 기술 뉴스 10가지를 발표했다. 1위는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40나노 32기가 낸드플래시 메모리’ 였다. 이 반도체 하나에 고해상도 사진 3만 6000장 또는 영화 40편을 저장할 수 있다. ... ...
이전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4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