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동
양도
이주
이사
천거
이식
전출
뉴스
"
이전
"(으)로 총 5,341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노트 운영 중구난방] “전자기록 의무화? 쓰는 사람 못봐”
2015.06.01
매년 국가 예산이 수조 원 투입되는 만큼 연구 결과를 효율적으로 보관하고 관리해 기술
이전
등 사업화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또 연구노트는 연구자와 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지적재산권에 해당하는 만큼 법적 효력이 있어 특허 소송 등 분쟁 시에도 필수 증빙 자료로 쓰인다. ... ...
[연구노트 운영 중구난방] 연구조작 방지, 꼼꼼한 해외 규정
2015.06.01
“지난해 전 세계 생명과학계를 발칵 뒤집어놓은 일본의 줄기세포 논문 조작 스캔들은 연구노트만 제때 점검했어도 막을 수 있었을 겁 ... ‘처음 아이디어를 떠올린 날짜’ ‘발명품이 구체적으로 완성된 날짜’ 등 특허
이전
이나 분쟁 시에 대비해 연구노트 표기 방법을 공지하고 있다. ... ...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
과학동아
l
2015.05.29
‘CT(Culture Technology) 포럼 2015’에 참석하러 한국을 찾은 맥스 라이너 교수를 만났다. Q.
이전
에도 가상현실 비행시뮬레이터는 많았다. 버들리가 유독 인기를 끈 비결은? A. 사용자가 감정적으로 몰입할 수 있어서다. 기존 비행기 시뮬레이터는 복잡한 기계를 조종하는 데 집중해야 했다. 여유롭게 ... ...
“아이 빌리브 아 캔 플라이(I believe I can fly)”
과학동아
l
2015.05.29
영화를 보는 내내 관람객들은 마치 새가 돼 하늘을 훨훨 나는 것처럼 느꼈다.
이전
에도 가상현실 비행 시뮬레이터는 많이 개발됐지만 버들리는 유독 관람객들의 호응을 많이 얻었다. 사용자가 진짜 새가 된 것처럼 몰입할 수 있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버들리는 복잡한 기계 조종법을 익힐 필요 ... ...
“영화가 현실로!” 아우디 ‘R8 이트론’ 자율주행차 공개
동아닷컴
l
2015.05.27
운전자들에게 휴식과 안전을 제공한다”며 “직접 운전할 때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해
이전
보다 훨씬 안전한 운전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리 동아닷컴 인턴기자 luckyurikim@gmail.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2% 부족한 쇳덩이에서 인류 위협하는 존재로
2015.05.23
존재 2011년 ‘리얼 스틸’에 등장하는 복싱 로봇은 로봇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지만
이전
영화들처럼 비현실적인 운동신경을 묘사하는 데 주력하는 대신 현실 감각을 찾았다. 주인공인 인간이 컨트롤러를 들고 로봇의 움직임을 조종하면 이에 따라 움직인다거나 인간의 행동을 모방한다. ... ...
이젠 태양계 탐사도 5kg 소형위성으로
2015.05.22
큰 위성을 이용해 제작과 발사에만 수천 억 원이 들었다. 하지만 소형위성을 이용하면
이전
보다 기능과 성능은 다소 떨어져도 탐사 비용을 대폭 줄이고, 여러 대를 동시에 쏘아 보낼 수 있어 대학 연구소 차원의 우주 탐사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는 현재 서비스 모듈과 ... ...
5분이면 얇고 휘어지는 전자소재가 ‘뙇’!
2015.05.18
걸렸다. 고온을 만들어줄 필요가 없어 제작 단가도 획기적으로 줄었다. 박 교수는 “
이전
까지 고온 열처리 없이는 만들 수 없었던 전자소재를 저온에서 빠른 시간 안에 만들 수 있게 됐다”며 “대면적 디스플레이에는 물론 부드럽고 잘 휘는 성질을 이용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도 응용할 수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있는 현상을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18개월 동안 지속되면 홍역 발생자의 수가 에볼라
이전
인 12만7000명의 두 배에 가까운 22만70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고, 이로 인한 추가 사망자 수도 2000~1만6000명에 이를 것으로 나왔다. 이는 에볼라로 인한 사망자수 1만1000여명과 맞먹는 수치다. 따라서 WHO를 ... ...
그래, 과학은 원래 재미있는 것이었지!
2015.05.17
하지만 세상을 바꿀 만한 변화는 불연속적인 계기에 의해 찾아온다고 말한다.
이전
의 이론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혁명적인 연구 결과에 의해 인간이 자연을 이해하는 창이 새롭게 주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시간이 얼마간 지나면 새로운 창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정상 과학’의 ... ...
이전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