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들어섰다. 16세에 케임브리지의 곤빌앤키스 칼리지에 입학해 교양과 의학을 공부했고,
이후
이탈리아의 파도바대로 유학을 가 학업을 이어갔다. 그곳에서 유명한 해부학자 파브리치우스의 가르침을 받아 1602년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왕실 주치의의 사위가 된 하비는 유명한 의사가 됐다. 160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코르비니안 브로드만 박사가 약 50개로 나뉜 뇌영역 지도를 제안했다. 이는
이후
약간의 수정을 거쳐 널리 통용되고 있다. 생후 수년 이내 뇌지도 형성각 개체마다 뇌지도가 발달할 때 유전적인 요인이 얼마나 많이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많다. 하지만 뇌지도는 반드시 정해져 있는 ... ...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2배씩 반도체 집적도가 증가. 발표 당시 1년에 2배로 예측했으나, 1975년 2년에 2배로 수정.
이후
인텔 경영진이었던 데이비드 하우스가 다시 18개월에 2배로 수정. 무어 본인은 18개월이라고 말한 적이 한 번도 없었음.•시기: 1965년 4월 19일(당시 37세).•당시: 페어차일드 반도체개발소장.•계기: 미국의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전에 입수한 미국과학진흥협회의 보도자료는 놀랍게도 한국어였다. ‘사이언스’ 발행
이후
보도자료가 한국어로 먼저 나온 적은 처음. 실감나는 생명공학 ‘한류 열풍’이다 ... ...
04. 디지털의 화려한 플래시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등장한 HDD는 용량이 불과 5MB였지만 몇 년 뒤 16비트 컴퓨터에는 40MB짜리가 장착됐다.
이후
1980년대 중반까지 HDD는 부지런히 용량을 늘리면서 컴퓨터의 주기억장치로 자리 잡았다.1990년대 초부터 가속이 붙었다. 연세대 기계공학과 박영필 교수는 “거대자기저항헤드가 개발됐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
산꼭대기 큰 웅덩이 가마솥 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집중적으로 침식이 일어나면 그곳을 중심으로 요지(凹地) 형태의 작은 홈이 생겨난다.
이후
화강암을 덮고 있던 표토가 바람 등에 의해 깎여 사라지면서 화강암이 지표에 노출된다. 노출된 화강암 표면의 홈에는 빗물과 눈 등이 고이게 된다. 고인 물이 얼었다 녹기를 반복할 때 화강암 표면도 함께 ... ...
4륜 구동 시스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바퀴 4개에 힘을 고루 전달해 차량이 안정감 있게 달리도록 해준다. 아우디의 이날 발표
이후
25년간 100만대가 넘는 승용차에 이 기술이 적용되면서‘4륜 구동’은‘힘과 안정감’을 상징하는 대명사로 자리 잡았다. 첨단 자동차공학의 상징, 4륜 구동기술을 살펴본다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그리고 이때부터 이 빛을 ‘테라헤르츠빔’이라고 불렀다.
이후
서서히 테라헤르츠파라는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테라헤르츠파의 인기가 급부상한 것은 그 독특한 성질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테라헤르츠파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이 투과하지 못하는 종이, 나무, 옷감,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권고했다. 또 우주비행사의 탈출 시스템의 안전도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도록 했다.
이후
NASA는 1988년 9월에야 우주왕복선 비행을 재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챌린저호 사고 후 17년만인 2003년 컬럼비아호가 지구로 귀환하던 도중 폭발해 NASA는 또다시 우주왕복선 폭발이라는 망신을 당했다. ... ...
빅뱅 직후 우주는 액체 상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공동 연구팀은 18일 미국 물리학회에서 이 같은 새 이론을 발표했다. 연구진은 2000년
이후
가속기를 이용해 금의 원자핵을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정면 충돌시키는 실험을 계속해왔다. 이 충격으로 빅뱅 후 수십만분의 1초 뒤의 우주 온도인 약 1조℃ 이상의 상태를 재현했다. 초고온 초고밀도의 ‘모의 ... ...
이전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