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발
주먹
도움
손바닥
약혼
sone
so’n
d라이브러리
"
손
"(으)로 총 5,212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인슐린과 당뇨병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섬같은 구조가 있음을 밝혀 놓았다(1868년). 이러한 지식들이 모여 결국 밴팅과 베스트의
손
에 의해 인슐린이 발견되게 되는 다리를 놓은 것이다.인슐린은 음식을 섭취한 결과, 영양분이 몸에 들어오면 분비된다. 장에서 음식물을 소화하려면 소화효소가 필요한데, 이것이 췌장에서 나온다. 또 ... ...
손
에 땀을 쥐는 이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떨어지고 소변이 나오지 않게되며 황달 증세가 나타난다. 그 결과 콩팥과 간에 심한
손
상을 받아 사망하는 경우도 가끔 있다.■취한증/「암내」를 풍긴다주로 겨드랑이에서 고약한 악취를 풍기면서 땀이 나는 경우를 취한증이라고 한다.아포크린 땀샘에 세균이 감염되면 부패돼 분비물에서 마늘 ... ...
금속활자의 부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木板)을 써서 책을 찍어내는 기술은 8세기 경 신라에서 시작되었다. 사람이 한자 한자
손
으로 써서 베끼던 일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간단하고 빠르게 해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것은 위대한 발명이었다. 그 이야기는 뒤에 쓰겠다.그러나 이 목판인쇄술은 일단 찍고 나면 다시 같은 것을 찍을 때 외에는 ... ...
수동식 변속기 대(対) 오토매틱 변속기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있었다. 액체를 통해 힘을 전달하게 되므로, 아무래도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MT보다 힘의
손
실이 많았던 것. 쉽게 말해 기름이 더 들었다.그래서 자동차공학자들은 이 숙제를 풀어내기 위해 고심에 고심을 거듭했다. 그 산고로 태어난 것이 로크업이다. 토크컨버터 안에 로크업 클러치를 두어 톱 ... ...
건축자재의 신소재화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일부분만이 형틀과 접촉하기 때문에 형틀의 마모
손
실률이 낮으며 훼
손
된 부분이 있다
손
치더라도 내용물이 좀처럼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매우 길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자체에 30%정도의 동공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열효과가 우수하며, 또 시공작업이 간단 신속해 인건비 절감효과가 ... ...
실생활에 활용되는 캐나다의 비디오텍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달러'라는 안내화면이 나타난다.비디오프레스는 화면을 4, 5개로 분할하여 한 부분에
손
을 대면 차례로 준비된 화면으로 변하게 되어 있다. 키 입력방식의 텔레가이드만큼 정보를 선택할 가닥은 많지 않다. 그러나 이 방식은 두세살되는 어린이도 그림을 보면서 자유롭게 시스템을 사용할 수 ... ...
독특한 철학과 프로그램공개로 성공한 새로운 운영체계「유닉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엔진과 연결된 장치들의 제어까지 신경을 써야 한다면 어떻게 될까. 그렇다면 운전자는
손
으로 펌프를 돌려서 연료를 엔진에 공급해 주어야 할 것이고 연료의 연소를 위해 각 실린더에 공급되는 전기를 배전(配電)해주기 위해 실린더마다 번갈아 가며 전기를 공급해 주느라고 정신을 못차리게 될 ... ...
미술품의 진품 여부를 가리는 X선법과 중성자법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얼룩 등을 알아내는데 효과적이다. 한 예를 들면 렘브란트는
손
을 그리는데 서툴러
손
을 고쳐 그린 그림이 많은데, 이 사실에 근거해 X선 조사로 진품여부를 가린다.X선보다 더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은 중성자방사법. 원리는 그림에 열중성자를 쬐면 방사성동위체가 방출되는데, 이것이 붕괴할때 ... ...
새로운 삶 찾아줄 황금 의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의수의 뼈대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또한 베릴륨(Be)을 혼합한 동(銅)으로
손
등을 만들고
손
바닥 부분엔 부드러운 가죽을 댐으로써 관절운동을 견딜 수 없는 가죽의 약점을 극복했다.의수의 외양에 대한 모네스티에씨의 고집도 남다르다. 그는 인체를 꼭같이 모사하기 위해 애썼던 기존의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도공들은 특히 발로 돌리는 물레를 잘 썼다. 그것은 두
손
에 자유를 주었기 때문에
손
으로 돌리는 물레보다 여러모로 편리했다.성형된 도자기는 가마에서 구워 낸다. 그 가마에도 한국인의 특색이 보인다. 등요(登窯)라는 터널식 가마가 그것이다. 등요는 우리나라 도공들이 오랫동안 써 온 훌륭한 ... ...
이전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