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는 만큼 받는다! 이공계 장학금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목표했던 장학금도 덩달아 따라온다. 설사 장학금을 타지 못한다 하더라도 준비하는 기
간
동안 얻는 것과 남는 것은 분명히 있다. 이것이 바로‘꿩 먹고 알 먹고’다.알았다면 지금부터 준비하자. 아는 만큼 장학금을 탈 수 있는 기회도 많아질 뿐 아니라 미리미리 준비 한다면 결코 그림의 떡이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폴란드왕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별 600여개가 포함된 1564개 별의 위치를 담은 목록을 발
간
했다. 이 목록에는 출판자금을 지원한 폴란드 소비에스키왕을 기리기 위해 ‘소비에스키의 방패’라는 별칭을 갖는 방패자리, 헤벨리우스의 예리한 눈을 닮은 살쾡이자리, 맨눈 관측에 썼던 장비를 기린 ... ...
누가 가장 많은 홈런을 칠까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지난 5월 21일 현역 최고의 홈런타자 배리 본즈는 미국 오클랜드 구장에서 오른쪽 펜스를 넘기는 솔로아치를 그려냈다. 본즈는 이날 메이저리그 통산 714호 ... 이 선수에게 적용하는 것은 정확한 방법이 아니다. 물론 한국이나 일본에서 미국으로 건너
간
아시아 타자들의 자료도 부족하다 ... ...
갈기없는 수사자?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동물학자 토마스 그노스케 박사팀이 ‘사이언스’ 9월 29일자에 그 해답을 제시했다. 10년
간
야생동물원의 사자를 관찰해 온 그노스케 박사는 더운 지역보다 추운 지역에서 데려온 사자의 갈기가 더 많이 자라는 것을 발견했다. 즉 더운 날씨와 사자 갈기 사이에 관련성이 있다는 얘기다.그노스케 ... ...
특집Ⅰ 뿌리 깊은 나무 노벨상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전혀 새로운 현상과 지식의 장을 열었듯이 도저히 상상이 안될 정도로 정밀하게 시
간
을 측정하는 기술도 완전히 새로운 과학과 기술을 만들어낼 것이다. 벌써 이 기술은 자연상수를 정밀하게 측정하거나 우주를 탐색하며 인공위성, 위성항법장치, 통신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첨단과학기술 분야의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2006 이그 노벨상 ig Nobel Prize딸꾹질 퇴치법은 항문에 손가락 넣기1분에 최고 30번까지 72시
간
동안 계속 딸꾹질을 하다가 응급실에 찾아온 사람이 있었다. 뇌신경의 일종인 미주신경에 전기자극이 폭주하면 웬만해선 멈추지 않는 ‘폭주 딸꾹질’이 생긴다. 이 정도면 물을 마셔도 소용이 없는데, ... ...
견우 직녀를 도와 준 우주신령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한국천문연구원, 꿈돌이랜드는 7월 29일(토)부터 칠월칠석인 7월 31일(월)까지 3일
간
‘견우직녀★과학축제’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알려 드릴게요 ... ...
USB 충전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이르렀다는 학설이다 냉대의 남부에 나타나는 기후 여름에는 기온이 높아지나 그 기
간
이 짧고, 겨울은 길고 추워 연교차가 큰 것이 특색이다또 활엽수와 침엽수가 혼합되어 있으며 비가 적은 내륙 부분은 초원을 이루어 비옥한 흑토(黑土)를 보여주고 있다대체로 북위 50~55°에 걸쳐 분포하며 지역에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접어들면서 경도를 측정하는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는 듯 했다. 그러나 경도는 국가
간
문제로 확대돼 논란을 일으켰다. 16세기 후반 지리탐사가 시작된 유럽에서는 항해용 지도가 많이 제작됐다. 그런데 각기 자기 나라를 기준으로 지도를 제작했기 때문에 나라마다 경도가 달랐다. 이 때문에 ... ...
우주정거장서 국산 귀마개 끼고 잔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착용한 사람의 청력에 따라 없애야 하는 소음의 진동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들어
간
다. 물론 이 귀마개를 해도 대화하는 상대의 목소리나 긴급 상황의 벨소리처럼 필요한 소리는 들을 수 있다고 한다.우리가 개발한 귀마개를 착용한 우리 우주인이 ISS에서 자명종 소리에 깨어날 날이 머지않았다. ... ...
이전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4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