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들만으로는 장수명 핵종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반드시 새로운 제염기술이
필요
하다. 현재 가장 관심을 끌고 있는 기술은 가속기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양성자를 가속한 뒤 금속에 부딪혀 중성자를 발생시키고, 이 중성자로 문제의 핵종을 태워 안전하게 변환시킨다. 홍승우 성균관대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가리키는 위치에 부품이 실제로 있는지, 각 부품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등을 확인할
필요
가 있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 과정에서 2008년 남아메리카의 작은 섬나라 바베이도스에서 ‘인간프로테 옴프로젝트(HPP)’ 첫 번째 워크숍이 열렸다. 여기에는 간이나 뇌, 혈장 속의 단백질을 연구하는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하면, 좁아진 혈관을 넓혀 피가 원활하게 흐르게 도와준다.하지만 늘 금속 그물을 수술이
필요
한 부위까지 옮기는 게 문제였다. 원기둥 모양의 금속 그물을 혈관을 넓힐 만큼 크게 만들면 혈관 안에서 움직이기 어렵고, 너무 작게 만들면 혈관을 넓히는 기능을 못 하기 때문이다. 결국 전문가들은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우주를 이루는 입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그 중에 보통 물질은 쿼크(Quark)와 전자 같은 페르미온(Fermion)의 결합으로 생긴다. 이런 물질의 미세한 물리량이 19세기에 발견된 ... 있는 초대칭성 이론이다. 이처럼 세상을 탐구하는 과정은 상당히 신비한 수 체계를 끊임없이
필요
로 한다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미 이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현재는 사용자가 직접 인물의 이름을 지정해 줄
필요
없이 알고리즘이 찾아준 결과만 확인하면 된다.알고리즘의 원리는 페이스북에 쌓여 있는 사진 중에서 찾고자 하는 사람의 얼굴과 가장 비슷한 얼굴을 찾아내는 것이다. 인식해야 할 대상의 사진이 페이스북에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다른 방법으로도 실현될 수 있었다고 생각하는 것은 어떨까? 모두 눈치 보거나 변명할
필요
없이 당당하게 좋은 일들을 할 수 있는 세상이 되길 바란다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광합성과 철새의 양자생물학생물학자는 분자를 마치 거시세계의 축구공처럼 다룬다. 꼭
필요
한 부분에만 양자역학 개념을 사용할 뿐이다. 하이브리드라고나 할까. 분자 자체는 양자역학적 원리로 구성돼 있으나 분자 전체를 한 단위로 보았을 때 이것은 공이나 다름없다는 말이다. 불과 60개의 ... ...
[hot science] 포스트시즌의 세가지 미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볼을 가장 잘 하는 감독이다. 2005년 시카고 화이트삭스 감독 시절 그는 점수를 적게 주고
필요
한 만큼만 뽑는 ‘짠물 야구’로 월드 시리즈를 제패했다. 그의 실력을 인정해 롱 볼과 스몰 볼을 구분하는 기록의 이름을 ‘기옌 숫자’라고 부른다. 기옌 숫자는 팀 전체의 득점에서 홈런이 차지하는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해 교신 프로그램을 짜야했다. 지름이 20m가 넘는 거대 안테나도
필요
했다.스카이코프는 인터넷을 통해 공개 모금에 나섰다. 예상 밖의 뜨거운 관심으로 목표금액인 16만 달러를 3개월 만에 모았다. NASA도 스카이코프에게 ISEE-3호의 사용 허가를 내주었다. 올해 5월 스카이코프는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재래닭의 복원과 보존에 힘쓰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굳이 ‘토종’만 고집할
필요
는 없다. 재래돼지와 재래닭이 가장 우수하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외래종과 재래종의 우수함을 두루 갖춘 ‘신종 토종’ 돼지와 닭이 개발 중에 있다. 진짜 우리 돼지와 닭으로 만든 삼겹살과 ... ...
이전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4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