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732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인플루엔자 치료제 후보물질 나왔다...기업에 기술이전 완료
동아사이언스
l
2019.04.30
한 실험을 통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치사율이 낮아지고 폐 손상이나 염증 등의
반응
도 줄어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물질을 투여 받은 인플루엔자 감염 생쥐는 일반 생쥐에 비해 평균 생존일이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체중 감소가 줄어들고 일부는 정상 회복되기도 했다. 바이러스 입자 수가 10%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가려져 치명상을 입었을 것이다. 그런데 왜 두 식물군은 지구온난화에 다른 속도로
반응
할까. 어차피 봄이 빨라지는 건 똑같은데 말이다. 이는 계절의 변화를 인식하는 신호체계가 식물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지구 공전에 따른 낮 길이의 변화(광주기)와 온도 변화가 주된 신호임에도 야생화는 ... ...
우주 최초의 분자 수소이온화헬륨 확인
과학동아
l
2019.04.30
존재를 확인했다. 데이비드 뉴펠드 존스홉킨스대 물리천문학과 교수는 “
반응
성이 거의 없는 헬륨과 수소이온이 결합하는 독특한 현상을 직접 관찰한 만큼 우주의 진화 과정을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9-1090 ... ...
신장이식 거부
반응
10분만에 알아내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서울아산병원 김남국 융합의학과 교수(왼쪽)와 고현정 병리과 교수(오른쪽) 연구팀이 신장이식 후 나타날 수 있는 거부
반응
을 13분 만에 ... 밝혔다. 현미경으로 400배 확대한 신장 조직 슬라이드 사진. 동그라미 친 부분이 거부
반응
이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는 모세혈관. 서울아산병원 제공 ... ...
터지지 않는 배터리 ‘전고체전지’의 불안정 문제 해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연구에 참여한 김병곤 연구원은 “본 연구결과는 고체전해질과 탄소 계면의 부
반응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결책 및 도전재의 새로운 개발 방향을 제시했다”며 “지금 단계에서는 비록 고온 열처리 장비의 가격문제가 있지만, 대용량화가 이루어지면 전고체전지용 도전재를 손쉽고 ... ...
5000만명 숨진 ‘스페인독감’ 독성 비밀 101년 만에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F2 단백질이 인터페론 생성에 중요한 단백질인 DDX3와 결합해 분해시킴으로써 항바이러스
반응
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바이러스의 독성을 높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사진제공 한국연구재단 연구 팀은 이번 연구 결과가 질병을 진단하고 예후를 관찰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균환 ... ...
신개념 나노촉매로 이산화탄소 70% 이상 에틸렌으로 변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선택성이 낮았으나, 이번 연구처럼 촉매 구조를 나노 수준에서 균일하게 조절하는 경우
반응
특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라며 “이번 연구는 나노 수준의 촉매 디자인이 고효율 에너지 제조 촉매 개발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무엇이 정신장애인의 치료를 막는가?
2019.04.28
에필로그 정신장애인 관련 사건이 터지면 ‘모두 잡아 가두어라’는 극단적인
반응
이 쏟아져 나옵니다. 살벌하고 무시무시한 편견이 비등하면, 정작 정신과를 찾던 환자의 발길도 멈추게 됩니다. 안주머니에 넣어둔, 핸드백에 간직한 약을 들킬까 불안합니다. 사람들이 자신을 흰 눈으로 보는 ... ...
시각장애인도 뇌 시각 영역 활용해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이전에 발생한다는 추측의 증거가 된다”며 “뇌가 시각장애로 이 부분을 청각에도
반응
하도록 전환시켰지만 시력을 회복한 이후에도 능력이 사라지지 않고 유지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파인 교수는 “시각장애인의 뇌가 어느 부분이 변하는지 뿐 아니라 어떤 종류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 ...
SF가 현실로… 인공뇌가 ‘의식’을 갖는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이용해 뇌세포 수백만 개로 구성된 미니 뇌를 만들었다. 이 뇌가 빛 등 자극에
반응
하거나, ‘의식’을 갖게 된다면 어떨까. 치료 목적으로 환자로부터 뇌 전체나 일부 조직을 몸 밖으로 떼어낸다면 이 뇌 조직의 소유권은 누구에게 있을까. 뇌를 다른 동물에게 이식해 자라게 하면 이 존재는 ... ...
이전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