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소니
f 88
smu
삼성
소니 mp3
소니mp3
뉴스
"
바이오
"(으)로 총 5,112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조성의 대가는 정신질환?
2015.06.15
위험성 수치가 창의성과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이 실렸다. 아이슬란드의
바이오
벤처 디코드미 제네틱스를 비롯한 14개 기관의 공동연구자들은 아이슬란드인 8만6292명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 이런 결과를 얻었다. 이 가운데 정신분열증이거나 정신분열증을 앓았던 사람은 583명, ... ...
영화 ‘감기’처럼… 항체 생긴 완치환자의 혈장을 투여
동아일보
l
2015.06.15
에볼라 항체가 포함된 피를 수혈받아 상태가 호전되기도 했다. 미국
바이오
기업 맵
바이오
파머슈티컬이 개발한 에볼라 치료제 Z맵(ZMapp)은 에볼라바이러스에 감염된 쥐에게서 얻은 항체로 만든 치료제다. 대책본부는 앞으로도 메르스 환자 치료에 완치자의 혈장을 활용할 계획이다. 방역당국 ... ...
현미경 이렇게 바꿨을 뿐인데…
2015.06.10
수백nm(나노미터·10억 분의 1m) 크기의 균일한 콜로이드 입자 구조로 이뤄졌다. 이는
바이오
센서 등 나노 패턴을 찍어 내는 ‘틀’로 활용되기 때문에 필름의 입자구조가 일정해야 ‘고품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고품질의 필름을 골라내기 위해서 현미경으로 입자 각각을 확인해왔다. 필름이 ... ...
심장에 딱 붙여 치료하는 ‘세포 스티커’ 개발
2015.06.10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관우 서강대 화학과 교수팀은 미국 하버드대
바이오
질병연구소와 공동으로 손상된 장기나 피부에 스티커처럼 붙여 회복을 돕는 세포 스티커 제작에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세포 스티커는 레이저 시술 후 손상된 피부부터 인체 내부 장기에까지 폭 넓게 붙일 수 ... ...
신약 후보물질도 ‘바코드’ 찍어 확인
2015.06.08
이윤식 교수(왼쪽)와 정대홍 교수.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신약 후보물질에 바코드를 매겨 후보물질을 빨리 찾을 수 있는 검정 시스템을 개발했 ... 비롯해 다양한
바이오
물질을 검색하는 데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바이오
신약 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 ...
‘SK 수면장애 신약’ 마지막 임상시험… 3조 시장 열린다
동아일보
l
2015.06.02
임상 3상을 끝낸 어코드사는 2017년경 FDA에 신약 승인 신청(NDA)을 할 계획이다. SK그룹은 SK
바이오
팜의 신약 개발 성과들이 8월 출범하는 SK㈜와 SK C&C 합병 법인의 실적을 견인하는 주요한 축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대식 SK㈜ 사장은 “앞으로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혁신적인 신약 개발에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05.28
데이비드 오어는 인공적인 환경이나 기술문명에 둘러 싸여 지내는 어린이에게서 ‘
바이오
포비아’, 즉 자연공포증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확실히 도시에 사는 어린이는 자연 환경에 덜 노출되며, 어른들이 어린이에게 들려주는 동화는 자연에 대한 공포로 가득하다. 숲 속에는 늘 호랑이나 ... ...
탈모라구요? 모근세포 3D프린터로 찍어 이식하세요
2015.05.27
유전자 교정세포 3D프린팅 기술을 응용한 가상 사례(위)와 차세대 유전체분석 칩 응용 사례(아래)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2025년. 직장인 김 모씨의 ... 분야가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한 것”이라며 “사회·경제 수요에 부응하는
바이오
헬스 연구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인간은 정말 뇌의 10% 밖에 사용하지 못할까
2015.05.25
모두 허무맹랑한 허구일 뿐일까. 박태현 서울대 화학공학과 교수의 ‘영화 속의
바이오
테크놀로지’는 영화 속에 등장한 생명공학 지식의 허와 실을 정리한 책이다. 영화 속 이야기들은 실현불가능해 보이지만 대부분의 상상이 그렇듯, 과학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제작된 것이다. 이 책은 ... ...
유전체 편집, 인간에게 약인가 독인가
2015.05.25
세포의 유전체를 재구성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암과 에이즈, 혈우병을 치료하고
바이오
연료를 생성하는데 기여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되는 반면 인간배아를 대상으로 적용할 경우 생명윤리 문제에 직면할 우려도 공존한다. istockphoto 제공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행동을 ... ...
이전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