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20,937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지난해 12월 미국 스타트업 에너저스(Energous)는 자사의 원거리 전력 전송기 ‘와트업(WattUp)’이 세계 최초로 미국연방통신위원회(FCC)의 ... 수준의 아주 적은 전력으로 충분히 충전할 수 있다”며 “무선 충전 기술이 의료 등 다양
한
분야와 만나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2011년 미국 광학회 부회장 자격으로
한
국을 방문해
한
국광학회 학술회의에서 강연을
한
바 있다. 당시 여성 과학도들을 격려하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했다. 남창희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프리스턴 플라스마 물리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2012년까지 KAIST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했다. 공 모양이 공간 대비 표면적이 다른 구조에 비해 넓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또
한
세포 성장을 위해 일일이 지지체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대량 생산의 걸림돌이 된다. 정 책임연구원은 “지지체를 사용해서 배양하는 ‘부착세포배양’ 방식 대신, 통 안에 배지를 채우고 대량의 근육세포를 넣어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급성 뇌질환의 일종인 광견병은 발병하면 극도의 공격성을 표출하는 경우가 있으며,
한
번 발병하면 거의 무조건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좀비 바이러스 후보라고 할 수 있다. 김 교수는 “광견병 외에도 일본뇌염이나 뇌수막염처럼 뇌에 침입하는 병원체가 이상 행동을 유발할 가능성은 있다”고 ...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10월 10일(현지 시간) 프랑스 남부 마르세유에서 북동쪽으로 60㎞가량 떨어진 카다라쉬에 위치
한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 본부. 안전장비를 착용
한
뒤 차에서 내려 10여 ... 것이라고 믿는다”며 “핵융합에너지도 미래 에너지의 주요 선택지 중 하나가 될 것으로 기대
한
다”고 말했다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는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기능성 조명에 대
한
수요가 늘고 있다”며 “산업체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조명 표준을 개발하고 싶다”고 말했다 ... ...
[반려동물 고민상담소] 개가 주인을 자꾸 물어요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나에게 으르렁거리는 반려견은 도대체 나에게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 것일까. 분명
한
건 나보다 서열이 높아서도 아니고, 서열 싸움은 더더욱 아니라는 것이다. 김선아충남대에서 수의학을 전공하고 수의사가 된 뒤, 서울대에서 동물행동의학 및 야생동물의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 ...
건국대 상허1급 장학생 백하나 - “백지 노트와 오답 노트 덕 봤어요”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생활비도 지원 받고 있다”고 말했다. 백 씨는 수의사를 꿈꾸는 학생들을 위해 책
한
권을 추천했다. 바로 ‘미리 가보는 수의학 교실’이다. 백 씨는 “고등 학생이 읽기에는 조금 어렵지만, 수의학과로 진학을 꿈꾸는 학생이라면 이 책이 동기 부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된다”고 말했 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았더라도 어렵고 안 되는 과목 위주로 공부해야
한
문제라도 더 맞힐 수 있다는 것이다. 황 씨는 일반고 재학생 에게 “내신 성적 관리가 기본이고 가장 중요 하다”고 덧붙였다 ... ...
[과학뉴스] 어린이 사시약시, 뇌 발달 저해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환자는 집중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팀은 사시약시 환자의 경우 시력이 약
한
눈으로 들어온 시각 정보를 뇌가 계속해서 무시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차우 연구원은 “사시약시가 뇌에서 집중력과 연관된 부위의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는 뜻”이라며 “사시약시와 부동시약시를 각각 ... ...
이전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