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머릿속 지우개’ 정체 첫 규명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해마라는 부위다. 해마에는 신경세포가 분포하고 있는데, 뇌에서 나온 정보는 신경세포
사이
시냅스의 수상돌기 끝에 있는 AMPA수용체가 활성화되면서 전달된다.조 교수는 “쥐의 해마를 관찰한 결과 NMDA 수용체가 활성화되면서 AMPA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하는 ‘카스파제(caspase-3)’이라는 단백질이 ... ...
세상을 꿰뚫는 ‘촌철살인’ 정신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큰 문제는 읽는 사람이 글의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특히 전문용어나 과학자
사이
에 통용되는 특수용어(jargon)가 많이 들어가는 이공계 글에서는 문장의 구조가 복잡하면 이해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또 다른 문제로는 비문(非文)의 위험성을 들 수 있다. 문장이 복잡하고 긴 경우, 주어와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다. 우리 은하 주변에서처럼 이론에서 예측하는 왜소은하와 관측되는 왜소은하의 개수
사이
에 커다란 차이를 보이는 현상을 ‘행방불명된 왜소은하 문제’라 부른다. 이는 차가운 암흑물질의 계층적 은하형성 모형에서 설명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이다.그런데 왜소은하의 잔재인 구상성단을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진화론’을 받아들였다는 평가가 많다. 1996년 요한 바오로 2세는 “종교교육과 진화론
사이
에는 아무런 대립도 없고 진화론은 가설 이상의 중요한 학설”이라며 “이미 있던 존재(유인원)에 하느님이 생기를 불어넣어 아담이 탄생했으며, 진화론은 지동설처럼 언젠가는 정설로 인정받게 될 ... ...
누구도 믿을 수 없는 불신의 벽, 편집증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편집증을 치료하려면 환자와 의사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아주 미미할지라도 둘
사이
에 믿음의 통로가 마련돼야만 치료에 진전이 있다. 필자도 그 통로를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다. 하지만 오직 분노와 적개심, 불안과 피해의식에만 몰입한 그는 그런 시도를 받아들이지 못했다. 그리고 ... ...
도시의 아름다움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예술 분야 전공으로 분류하기도 하고요. 도시설계는 건축과 마찬가지로 공학과 디자인
사이
에 존재하는 것 같아요.”그래서인지 도시설계연구실의 분위기는 각종 기계와 실험 장비가 갖춰진 일반적인 공대 실험실과 사뭇 다르다.“저희 연구실에서는 주로 도시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행동을 ... ...
시간이 지나면서 풍선의 변화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가라앉게 된다. 이에 비해 알루미늄 풍선은 금속박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금속
사이
의 틈이 거의 없기 때문에 고무풍선에 비해 오랜 시간동안 공기 중에 떠 있을 수 있다. Q2. [유창성] 영화 ‘업(Up)’에는 노인이 헬륨을 넣은 풍선을 이용해 집을 띄워 올리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에서는 작은 풍선들을 ... ...
미래의 글쓰기는 즐거운 ‘필살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엔지니어 4000여 명을 대상으로 직장에서 필요한 항목을 조사한 결과다. 1위부터 10위
사이
에 글쓰기를 포함한 의사소통 항목이 4가지가 포함됐다. 이들에게 기술 자체와 관련된 능력보다 의사소통능력이 더 필요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다. 연구실에 소속돼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도 글쓰기는 ... ...
바다 밑 생명체 대왕 오징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자를 수 있을 정도다. 전설로 전해진 바다 괴물의 실체 대왕 오징어는 예로부터 뱃사람들
사이
에 전설로 전해지던 거대한 바다 괴물 ‘크라켄’의 원형이다. 현대에 와서는 실제 대왕 오징어가 발견되면서 전설 속 바다 괴물의 실체가 드러났다. 1998년 대서양의 해저 4000m 지점에서 대왕 오징어가 ... ...
무시무시한 식충식물의 밥은 똥?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최근 말레이시아 찰스 클라크 박사 연구팀은 네펜테스 라자와 나무두더쥐가 서로 돕는
사이
란 걸 알아 냈어요. 네펜테스 라자는 나무두더지에게 달콤한 수액을 주고, 나무두더지는 이 식물에게 먹이인 똥을 주는 거죠. 똥에는 식물이 크는 데 필요한 질소와 인이 많답니다 ... ...
이전
476
477
478
479
480
481
482
483
4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