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오른쪽"(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감염병 대응 R&D는 양치기소년?…위기마다 수백억씩 쓰며 확보한다던 기술 어디로 갔나동아사이언스 l2020.03.02
- 발병 조기 파악 시스템'은 어디있을까 홍남기 당시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앞줄 오른쪽 세 번째), 강대희 서울의대 학장(앞줄 왼쪽에서 네번째) 등 참석자들이 현판 제막식을 마치고 기념촬영 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미래부는 예산안이 확정된 뒤 국내 유입 ... ...
- 병상 부족에 효율화 안간힘…"연령·지병 등으로 고위험군 선별"(종합)연합뉴스 l2020.02.28
- 회의 결과 등 정례브리핑을 마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오른쪽 두번째는 이태호 외교부 2차관. 실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서는 의료현장에서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분류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지침을 만들고 있다. 이를 통해 경증 환자는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중증 ... ...
- [AAAS연례회의]"죽은 후 온라인에 남은 내 정보, 스스로 책임감 가져야"동아사이언스 l2020.02.26
- 대한 발표를 진행한 스테파니 풀레톤(가운데) 미국 워싱턴대 의대 교수와 린 카펜터보그(오른쪽) 미국 워싱턴주립대 교수의 모습. 시애틀=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후사인 교수는 디지털 애프터라이프에 대해 “우리가 소셜 미디어에 우리의 사진, 기억, 메시지를 남긴 채 죽게 된다”며 ... ...
- 美 연구진 "도시 봉쇄, 출입 제한 효과 불확실"…"지역내 전파 줄이는 게 더 중요"동아사이언스 l2020.02.25
- 수준일 경우(B)에는 시점만 미뤄질 뿐 결국 확산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래프가 오른쪽 위로 상승). 오직 전파력을 50% 이상 낮출 경우에만 확산히 효과적으로 멈추는 것으로 예측됐다. 노스웨스턴대 제공 실제 현상도 이런 주장을 뒷받침한다. 현재 중국 다음으로 많은 코로나19 환자가 나오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자연의 무심함에 대하여2020.02.25
- 형성됐을 때의 것을 선택했다. 그리고 한 이미지 안에 형성된 결정들을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의 순서로 번호를 매긴 뒤 각 결정의 크기, 방향, 색 등을 측정해 분류 기준에 따라 ‘0’ 또는 ‘1’의 값을 부여했다. 각 결정에서 얻은 값을 결정 순서에 따라 나열한 뒤 64바이트 단위로 끊어 하나의 ... ...
- [이덕환의 과학세상]야생동물 식습관만 탓할 일 아니다2020.02.19
- 발견된 인류가 그린 가장 오래된 동굴벽화. 4만 3900년 전 그려진 것으로 작고 사나운 물소(오른쪽)와, 이를 사냥하는 6명의 작은 사람들(왼쪽 작은 그림들)을 묘사하고 있다. 네이처 제공 지금도 전 세계 거의 모든 문화권에 사냥의 전통이 남아있다. 유럽의 귀족들은 여우·메추리 사냥을 즐긴다. ... ...
- 코로나19 에이즈바이러스와 관련없다동아사이언스 l2020.02.19
- 발생 부추겨 미국 연구팀이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왼쪽)과 HIV의 개그 단백질(오른쪽)의 염기서열을 분석해 3차원 모델링한 것. 인도 과학자들이 주장했던 두 바이러스가 유사점 4곳 중 2곳은 일치하지 않았고, 나머지 2곳은 염기서열이 비슷한 구간이 있었다. 하지만 3차원 모델링 결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스트레스는 어떻게 흰 머리카락을 늘리나2020.02.18
- 말단이 스트레스 신호를 받아 노르아드레날린을 방출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오른쪽은 모낭의 현미경 이미지로 빨간색이 멜라닌세포줄기세포(위)와 멜라닌세포(아래)이고 녹색이 교감신경 뉴런이다. ‘네이처’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 ... ...
- [먹거리과학]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02.14
- 고기(왼쪽)는 정상고기(가운데)보다 수분이 많이 빠져나온다. 반면, 산성도가 높으면(오른쪽) 고기 내 수분이 많아 물컹한 느낌을 준다. Foloyd Mckeith 제공 새로운 소고기 등급 판정 기준에서는 마블링 외 다른 평가 항목(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 등)이 등급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다. 과거에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픈 자, 죽는 자, 멀쩡한 자2020.02.04
- 유형의 숙주에 침투한 경우로 바이러스(녹색)가 일사천리로 증식해 방출되고 있다. 오른쪽은 바이러스에 강한 유형에 침투한 경우로 곳곳에서 숙주의 방어체계(빨간색)에 막혀 바이러스가 힘을 못 쓰고 있다. ‘바이러스(Viruses)’ 제공 숙주의 유전적 다양성이 차이 불러 바이러스는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