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연세대"(으)로 총 4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채널A] 면역특성 역으로 이용…독감 백신 맞으면 더 위험?채널A l2013.11.01
- 완전히 제거하지 못해 숙주로써 바이러스의 증식을 돕게 됩니다. [인터뷰 : 성백린/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 한 번 감염이 된 사람은 오히려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해서 감염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논문입니다. 면역세포가 가진 특성의 허를 찌르는 바이러스의 이런 전략은 ... ...
- [채널A] 물고기가 사라졌다…해리포터의 ‘투명 망토’가 현실로채널A l2013.06.18
- 유리로 만든 이 투명망토에 ‘투명박스’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인터뷰: 김경식 / 연세대 기계공학과 교수] 기존에는 작은 물체만 가릴 수 있었는데 이번에는 금붕어나 고양이와 같이 큰 물체를 가릴 수 있는 신기술이 개발됐고, 유리처럼 쉽게 구할 수 있는 물질로 제작됐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
- [채널A] “줄기세포 논문 조작 의혹” 미국판 ‘황우석 사건’ 되나채널A l2013.05.29
- 같은 사진을 반복해서 사용했거나 사진 크기를 조절했다는 겁니다. [인터뷰: 김동욱 / 연세대 의대 생리학교실 교수] 적어도 이 논문에선 세군데 이상에서 사진이나 데이터가 중복되고 있거든요. 저자는 사진의 레이블링이 잘못됐기 때문에 바로잡으면 중복 문제가 해결된다고 해명하고 있지만 ... ...
- 우수한 항암제 전달능력을 지닌 MRI 조영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5.15
- 이광렬 교수, 연세대 의과대학 허용민 교수, 고려대 화학과 Vu Ngoc Phan 박사·김택훈 박사, 연세대 임은경 박사가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등의 지원을 받았으며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지 ... ...
- [채널A] 맞춤형 암 치료법 개발…MRI 조영제, 암세포 죽인다채널A l2013.05.14
- 항암제만 주입한 쥐와 비교해 눈에 띄게 암세포가 줄어들었습니다. [인터뷰: 허용민 / 연세대 의대 영상의학교실 교수] MRI로 추적이 되는 나노 조영제에 항암제를 넣어서 그 효과를 동물 실험에 이르기까지 분석한 것은 처음입니다. 맞춤형 암 치료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이 ... ...
- “2013 큐브위성의 꿈, 우리팀이 설계한다”동아사이언스 l2013.05.13
- 및 2012년 경연대회에서 선정된 큐브위성에 대해 소개한다. ※ '12년 선정(3팀) : KAIST, 연세대, 항공대 큐브위성 출정식에 이어 진행되는 1차 교육에서는 큐브위성 각 분야의 설계에 대해 위성분야 전문가들의 강연과 질의응답을 진행한다. ※ 교육내용 : 위성시스템, 구조체, 전력계, ... ...
-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국가 경쟁력이다”동아사이언스 l2013.02.28
- 다양한 기관과 학회를 통합 관리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정인권 연세대 교수는 “과학자와 임상연구자, 기업이 상호교류하면서 원천연구에서 실용화까지 이어지는 과정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토론회를 이끈 현병환 센터장은 “노화 연구의 뚜렷한 ... ...
- 신약, 유전체, 뇌과학 투자 늘어난다동아사이언스 l2013.01.13
- 개발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인력과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권영근 연세대 교수는 “실력있는 바이오, 제약기업을 정부가 적극 찾아 인력지원을 어떤 형태로 할 수 있는지 고민하자”고 말했다. 장규태 생명연 부장도 “BT 취업률은 50%, IT 취업률은 80%라는 점에서 부처간 ...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동아사이언스 l2011.12.05
- 먼 정부의 조직표에 따른 분류법을 언제까지 이어갈거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송시영 연세대 교수는 생명공학에 대한 정의부터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송 교수는 “생명과학, 바이오의학, 의생명공학, 의생명과학 등 기준에 따라 분류가 이뤄지고 있다”며 “융합을 위해서는 우선 ...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동아사이언스 l2011.07.05
- 국비 유학생) -1997년~2007년 미국 예일대, 하버드 대, 남가주대 연구원 및 교수 -2003년~현재 연세대 의과대 생리학과 교수 -2005년~2006년 세계조직공학 및 재생의학회 줄기세포분과(미국) 위원장 -2006년~현재 교과부 세포응용연구사업단 단장 -2007년~현재 세계 줄기세포 프로테옴 이니셔티브 공동의장 -200 ... ...
이전4344454647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