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커피에 우유 넣으면 항염증 효과 두 배"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자연 발생 화합물이다. 체내 세포를 공격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해 몸속 염증을 예방하고
DNA
와 세포를 보호한다. 레드와인, 맥주, 커피도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데 커피 한 잔의 항산화 능력은 비타민C 300~590밀리그램(mg)의 항산화 능력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폴리페놀의 생체 ... ...
'사탕수수'에서 찾은 새로운 항생제 후보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DNA
와 상호작용해 수복을 방해했다. 연구팀은 “몽키스패너처럼 비집고 들어가 세균의
DNA
가 원상복귀하는 것을 막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알비시딘의 특성을 증폭시킨 실험물질을 개발하고 폐렴균, 녹농균, 살모넬라균에 대해서도 감염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 ...
[표지로 읽는 과학] 예상을 뛰어넘는 단백질 합성의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1.28
생성이 결정된다.
DNA
를 가지고 단백질을 합성하려면 핵 밖으로 꺼내야 하는데 그러기에
DNA
는 너무 소중하다. 그래서 복사본인 mRNA를 만들고 핵 바깥으로 내보내는데 이 과정을 전사라고 한다. mRNA 내에 염기 세 개가 모이면 이를 '코돈'이라 부른다. 네 종류의 염기가 세 개씩 모여 만들어지는 ... ...
2억2000만년 전 살았던 가장 '펑키한' 양서류 화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약 1억8300만년 전인 초기 쥐라기 시대의 것이었다. 고대
DNA
분석에 따르면 케실리언의 진화적 기원은 약 3억7000만~2억7000만년 전인 석탄기와 페름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를 증명할 수 있는 화석은 발견된 바 없다. 케실리언 화석이 발견되며 과거 이 ... ...
손상된
DNA
복구 관여하는 새 단백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이동하는 것을 돕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홍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잘 알려지지 않은
DNA
결속손상 복구과정에 관여하는 새로운 단백질인 ZNF212의 역할을 보여줬다”며 “향후 암 치료와 유전병 신약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의 청사진을 제공했다”고 말했다. ... ...
대장암 수술 전 항암 화학요법, 재발률 28%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화학요법에는 진행성 전이 대장암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가 사용됐다. 세포 내에서
DNA
에 결합해 암세포를 죽이는 옥살리플라틴과 항대사물질인 플루오로피리미딘을 함께 투여했다. 분석 결과 수술 전 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들은 암이 재발할 가능성이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후 ... ...
국내 첫 '바이오파운드리' 베타시설...박테리아 합성부터 대량생산까지 '원스톱'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자동화한 인프라를 갖추기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 센터장은 "나노리터 수준의 적은 양의
DNA
를 다루는 음파이용 분주장비 가격만 4억원에 달한다"며 "바이오 스타트업이 설비투자를 하기에는 쉽지 않아 공공 바이오파운드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기업에서 자체 바이오파운드리를 ... ...
항생제 없이 바이오공정에 쓰일 세포 선별 시스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9
160염기쌍(bp) 정도의 매우 작은 가이드 RNA를 사용해 플라스미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DNA
백신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연구팀은 화장품 원료로 주로 사용되는 식물 유래 성분인 비사볼올(bisabolol)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항생제를 이용한 경우보다 선별된 플라스미드의 선별 효율이 높고 ... ...
"네일아트에 쓰이는 UV램프, 피부암 원인 세포 변이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교수는 “젤 네일용 UV 기기로 자외선을 조사한 세포의
DNA
는 손상됐으며 손상된
DNA
는 복구되지 않았다”며 “일부 태닝용 기기와 유사하게 피부암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말했다. 다만 피부암 발병 위험률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선 적어도 10년 이상의 ... ...
방사성동위원소 지르코늄 이용해 암세포 죽이는 나노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나노물질을 개발했다. 산화티타늄과 산화망간에서 발생한 활성산소는 암세포의
DNA
를 손상시켜 죽인다. 연구팀은 나노물질의 내부는 산화티타늄, 외부는 산화망간으로 만들어 활성산소를 이중으로 방출하는 나노물질을 구현했다. 나노물질 내부 Zr-89이 만드는 자외선이 산화티타늄에서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