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림
감광막
영화
유제
네거티브필름
네거티브
내가티브
뉴스
"
필름
"(으)로 총 52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공기방울 실시간 관찰 성공
2015.02.08
특성을 연구하기가 쉽지 않았다. 연구팀은 탄소원자 1개 두께로 이어진 그래핀
필름
사이에 액체를 가둔 뒤, 그 안에서 여러 나노공기방울이 서로 합쳐지는 과정을 초진공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두 나노공기방울의 크기에 따라 두 가지 경로로 성장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먼저 ... ...
인터넷 100배 빨라지고 뇌 혈관 손금처럼 본다
2015.02.05
안경을 써야 해 활용률은 높지 않다. 그러나 KIST가 개발한 기술은 얇은 특수물질을
필름
처럼 화면에 붙이기만 하면 3D 영상으로 볼 수 있다. 현장에서 안내를 하던 연구원은 “화질 저하, 노이즈 등의 문제점 없이 편안하게 입체영상을 볼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 ...
포스코와 삼성테크윈, 그래핀으로 뭐할라꼬?
2015.02.02
등 그래핀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전자파 차폐 코팅재, 고성능 기체·수증기 차단용
필름
등 그래핀을 응용한 제품들은 조기 상용화시킬 방침이다. 또 모든 과제는 산학연 컨소시엄으로 추진되며, 미래부와 산업부가 연계해 기술이전과 사업화를 극대화시킬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미래부와 ... ...
게 껍질에서 뽑은 물질로 USB 메모리 만든다
2015.01.12
이장식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게의 껍질에서 추출한 키토산으로 메모리 소자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 pixabay 제공 최근 스마트워치 같 ... 데일리는 스페인 바스크대 연구팀이 어린 아이들이 먹는 음식을 포장할 수 있는 안전한 키토산
필름
을 개발했다고 9일 보도했다. ... ...
세계 최고 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나왔다
2015.01.08
말로 할로겐화 납, 메틸암모늄, 포름아미디늄 등 무기물과 유기물을 섞어 만든다. 얇은
필름
형태로 잘 휘어져 활용도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는다.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실리콘 태양전지와 비교해 제작비는 3분의 1 수준이다. 또 실리콘에 페로브스카이트를 첨가하면 실리콘 태양전지의 효율을 ... ...
물-기름 ‘상극’인 물질 결합시켜 나노복합체 개발
2014.12.11
없는(무극성) 무기 나노입자는 결정 모양이 균일하고 고농도로 합성할 수 있어 기능성
필름
소자 제작에 널리 쓰인다. 하지만 탄소나노튜브나 그래핀 같은 물질과 결합시키려면 입자 표면을 바꾸는 추가 과정이 필요하고 흡착량마저 낮은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추가 공정 없이 무극성 나노입자와 ... ...
줄기세포치료제 손상 없이 전달하는 기술 개발
2014.11.18
프랭크 카루소 호주 멜버른대 화학공학과 교수와 공동으로 나노미터(nm) 길이의
필름
으로 단일 세포를 코팅해 세포의 생존을 유지하다가 원하는 시간에 분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미생물은 영양분이 부족한 환경에서 생존이 불리해지면 DNA 보존을 위해 세포외벽에 단단한 ... ...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주형 틈새에 기능성 물질을 증착해 나노구조체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나노구조체와
필름
사이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면 인체 피부를 비롯한 다양한 표면 위에 인쇄할 수 있다. - KAIST 제공 팔만대장경을 모두 펼치면 축구장 하나 정도로 넓다. 정연식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이 정도 분량을 A ... ...
우리가 제안한 OLED조명 기술 ‘국제표준’ 됐다
2014.11.11
조명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ETRI가 개발한 OLED 외부광 추출
필름
의 모습. - 한국전자 통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계 처음으로 제안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조명에 관한 기술이 전기분야 국제표준화 기구인 국제 전기기술위원회(IEC)에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 ...
텅스텐 나노 분말로 방사선 완전 차폐
2014.10.20
텅스텐 입자가 나노미터(nmㆍ1nm는 10억 분의 1m) 크기로 촘촘해 차폐 능력이 뛰어나며
필름
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차폐재를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전신보호복, 갑상선보호대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으며 전량 수입했던 의료용 방사선 차폐재의 수입을 대체하고 해외수출도 가능할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