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조자료
전거자료
인용자료
관련자료
참고문헌
뉴스
"
참고자료
"(으)로 총 1,761건 검색되었습니다.
열 받으면 수축하는 대신 늘어나는 '스마트 섬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니트 원단으로 만든 옷. 게티이미지뱅크 열을 가해도 수축하지 않고 오히려 30% 이상 늘어나는 ‘자가 신장 스마트 섬유’가 개발됐다. 스마트 의류와 소프트 로봇 등 다양한 첨단 기술품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안석균 부산대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열 자극에 가역적으로 ... ...
[동물do감] 하루에 43.7mm 움직이는 버섯산호…"그들에겐 전력질주"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버섯산호(학명 Cycloseris cyclolites)는 이동성 산호로 해파리가 헤엄치는 것과 비슷하게 운동하며 이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보통 5cm 미만의 작은 산호지만 최대 9cm까지 자란다. Lewis et al.(2025)/PLOS One 제공 산호가 '걷는 모습'이 자세히 포착됐다. 산호는 24시간에 평균 43.7mm 정도로 매우 천천히 움직 ... ...
'몸 속 군인' 면역세포, 전투 위한 배치 전략 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소장 안의 면역세포는 병원균과 잘 싸우기 위해 배치된 곳에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면역세포의 위치가 질병과의 싸움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됐다. 새로운 면역요법이나 백신을 개발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난다 골드라스 미국 ... ...
어머니 X염색체만 활성화된 암컷 쥐, 뇌 노화 빨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X염색체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여성이 아버지가 아닌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X염색체만 활성화될 때 뇌 노화가 더 빠르게 진행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어머니로부터만 X염색체를 물려받는 남성과 달리 여성은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에게서 총 2개의 X염색체를 물려받는다. 연구팀은 ... ...
'킬러세포'가 간암세포 죽이도록 만드는 치료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한국인의 간암 발병률은 높은 편이지만 5년 생존율은 평균 39% 정도로 낮고 아직 효과적인 간암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서울대는 이정원 약대 교수팀이 인체 면역세포인 자연살상세포(NK세포, Natural Killer Cell)가 간암 세포를 죽이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간암 치료제를 개발하 ... ...
염증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견…암 신약 개발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왼쪽부터) 박현우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 박소연 박사(제1저자). 연세대 제공. 만성 염증성 질환과 암 치료의 돌파구가 될 새로운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인 대식세포 내에서 ‘TAZ’라는 단백질이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데 관여한다는 사실이 처음 규명됐다. 연세대는 박현우 ... ...
인공태양 핵융합 원료 중수소 골라내는 다공성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핵융합을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핵융합의 원료인 중수소를 효율으로 분리할 수 있는 다공성 신소재가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최원영‧오현철 교수팀이 수소와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를 분리해낼 수 있는 금속 유기 골격체(MOF)를 개발했다고 23일 ... ...
박테리아와 상호작용 활용해 유해 미세조류 독성 억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미세조류.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박테리아와 미세조류의 상호작용을 분석해 유해 미세조류 독성 생성 원리를 규명했다. 수산양식, 수질 관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준 생물자원센터 연구책임자 연구팀이 미세조류와 박테리아의 상호작 ... ...
구부리고 늘리는 '스트레처블 기판' 왜곡 크게 줄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일반적인 필름과 전단압연 필름의 인장 시 모양과 이미지를 비교한 결과, 전단압연 필름(가장 오른쪽)은 왜곡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 확인됐다. KIST 제공. 탄성을 지닌 디스플레이 소재는 늘리거나 구부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한 방향으로 늘리면 수직 방향이 오그라드는 ‘푸아송 비 ... ...
지구에서 방사선에 제일 강한 미생물로 차세대 방호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변의백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오른쪽) 연구팀이 실험용 쥐의 방사선 피폭 검사 결과를 해석하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미생물 유래 소재에서 뛰어난 방사선 방호 효능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는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고 여러 장기를 한 번에 보호하는 차세대 방사선 방호제에 활용될 것으로 기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