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정
지명
선정
약속
명령
지시
지적
뉴스
"
지목
"(으)로 총 1,011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 찬공기 가둔 제트기류 둑 터지자 영하 39도의 한파가 미국을 때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8
미국 미네소타주에 한파가 찾아온 모습. 화재 진압 현장의 소방관과 얼어있는 집이 보인다. AP/연합뉴스 제공 미국 텍사스와 미네소타 등 중남부 지역에 유례없는 한파와 폭설이 몰아치고 있다. 15일(현지시간) 기준 미네소타주는 영하 39도를 기록했고, 텍사스 주는 1930년 이후 최저인 영하 18.8도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성당의 스팬드럴과 진화론
2021.02.18
우선은 굴드의 용어선택에 대한 가벼운 반격이 있었다. 굴드가 스팬드럴이라고
지목
했던 산마르코 대성당의 아치와 돔 사이의 공간은 엄밀히 말해 스팬드럴이 아니라 펜던티브(pendentive)이다. 속이 빈 반구형 구조물을 바닥에 엎어 놓고 밑면에 정사각형이 되도록 수직으로 절단해 낸다. 그러면 ... ...
코로나19 잠재 숙주 알려진 종보다 30배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무려 68종의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간 숙주 후보 중 하나로
지목
받는 천산갑도 코로나바이러스 14종에 감염될 수 있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 바이러스의 숙주로 추정되는 아시아사향고양이는 32종의 코로나바이러스 숙주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자동차 20분 이상 타면 허용기준 넘는 발암물질 흡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6
20분 이상 타고 이동할 경우 허용수치를 넘는 발암물질을 흡입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목
된 발암물질은 포름알데히드와 벤젠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이다. 데이비드 볼츠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 환경독성학과 교수 연구팀은 운전자가 하루 최소 20분을 운전할 때 흡입하는 포름알데히드와 ... ...
"WHO팀, 2019년말 우한에 이미 코로나변이 13종 확인"
연합뉴스
l
2021.02.15
임상적 진단을 내린 사례라고 한다. 우한 조사팀은 또한 중국 당국이 첫 감염 사례로
지목
한 40대 중반의 사무직 남성과 대화할 기회도 얻었다. 이 남자는 12월 8일 감염이 당국에 보고된 사례다. CNN방송은 구체적인 데이터를 WHO의 현지조사팀이 조금씩 확보하면서 2019년 12월 중순 공식 감염 보고 ... ...
기후변화로 서식지 옮긴 박쥐들, 코로나19는 보이지 않는 기후재앙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5
또 “최근 박쥐 종이 늘어난 것으로 보이는 중국 남부 지역은 코로나19의 중간 숙주로
지목
된 천산갑의 주요 서식지와 일치한다"며 “코로나19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 계열 감염병이자 2002년 창궐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도 중국 남부에서 시작했다"고 말했다. ●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 ... ...
코로나 중국책임론에 면죄부?…'WHO 조사' 미중 공방 가열
연합뉴스
l
2021.02.10
WHO의 코로나19 바이러스 기원 규명을 위한 다음 조사지는 동남아가 될 것이라고
지목
했다. 이들 매체는 마이크 폼페이오 전 미국 국무장관이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를 코로나19 유출의 주범으로 비난했던 것이 모두 거짓으로 드러났다면서 WHO가 중국보다는 오히려 바이러스에 취약한 태국 등 ... ...
드론으로 북극 해빙 고해상 촬영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등의 영향으로 최근 40년간 해빙이 40%가량 줄어들면서 북반구의 이상 기후의 원인으로
지목
되고 있다. 인공위성으로도 해빙을 관측할 수 있지만, 고해상으로 얻기가 어렵다. 극지연구소 원격탐사빙권정보센터는 관측 범위를 넓히면서 동시에 고해상을 유지하기 위해 드론을 활용했다. 드론을 ... ...
中 우한 간 WHO조사단이 밝힌 '중요한 단서' 동물·인간 매개 흔적 찾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같은 조상에서 나왔지만 실제 숙주가 따로 있을 가능성이다. 중간 매개 숙주로 천산갑이
지목
되기도 했다. 중국 우한이 코로나19의 첫 집단발병지인 건 맞지만 바이러스 자체가 처음 발생한 곳은 아닐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에서 발견되기 전 스페인, 이탈리아, ... ...
WHO 국제조사단 “우한 수산시장에서 코로나 발원 실질적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9 유행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을 수 있다며 화난 수산시장을 코로나19 최초 발원지로
지목
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전문가들은 지금까지 수산시장에서 코로나19가 발원했다는 증거는 찾기 어렵고 전파가 많이 일어난 곳이라는 주장을 펼쳐왔다. 다스작 대표는 “국제조사단의 활동이 마무리 되기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