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뉴스
"
숙주
"(으)로 총 498건 검색되었습니다.
“진리와 지식을 갈구하는 진정한 과학자라면…”
2014.11.02
생명을 얻지요. 예술가가 처음 예술작품 바이러스에 감염된 자라면, 감상자는 전염된
숙주
로서 예술작품의 생명을 보존하고 유지시키는 존재라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요?” 김 교수는 여기에 이어 미생물학이 ‘누군가를, 혹은 무엇인가를 보고 싶어 하는 사람의 욕망’에서 시작됐다고 설명한다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쓰인다는 것. 또 장내미생물은
숙주
의 호르몬 역할을 하는 다양한 생체분자를 만들어내
숙주
의 생리반응을 조절하기도 하는데 항생제는 여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헬리코박터 때문에 못 컸다? 블레이저 교수는 이와 관련해 흥미로운 연구결과 하나를 소개했다. 즉 위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가 ... ...
야식이 비만·당뇨를 유발하는 이유
2014.10.26
낮에는 해독작용처럼 스스로를 정리하는 단계에 들어가는 걸로 나타났다. 장내세균도
숙주
와 비슷한 생체리듬으로 활동한다는 것이다. 쥐의 식사시간을 바꾸자 장내세균의 개체수와 활성도도 함께 바뀐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진이 생쥐에게 돌연변이를 일으켜 생체시계를 망가뜨리자, ... ...
에볼라의 저주, 기니 주술사에서 시작됐다
2014.08.29
아직 알 수 없다”며 “10년 전 인간을 감염시켰던 에볼라 바이러스가 과일박쥐 등 자연
숙주
에게로 돌아갔다가 올해 다시 인간을 감염시켰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또 “현재 유행 중인 에볼라 바이러스는 기존 에볼라 바이러스에 비해 단백질 구조를 변형시키는 염기서열의 ... ...
‘질병 주식회사’에서 인류 멸망 바이러스 제조?
2014.08.24
이를 넘어 다른 곳으로 전염병을 퍼뜨릴 수 있다. 주목할 부분은 게임 초기 인간만을
숙주
로 하던 병원체를 인수공동 전염병으로 진화시키면 돌연변이 속도가 더욱 가속화된다. 인간과 야생동물, 가축의 생활구역이 뒤섞이면서 변종 바이러스의 등장이 더 잦아지는 특징을 반영한 결과다. 2009년 ... ...
식물끼리 대화, 어떻게 하나 봤더니
2014.08.15
주고받는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연구진은 “새삼은
숙주
의 전령RNA를 얻어
숙주
의 방어 시스템을 확인하는 것 같다”며 “이 연구를 역으로 이용하면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기생식물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생충이
숙주
를 속이는 법
과학동아
l
2014.08.03
변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 놨다. 또 허버트 버진 워싱턴대 교수팀은 기생충이
숙주
의 IL4 같은 사이토카인(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을 총괄하는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한다고 발표했다.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어린 아이의 낙서 같기도 하고, 곱슬거리는 머리카락 ... ...
스페인 독감 직접 만들어봤더니…헉!
과학동아
l
2014.06.15
유전자를 재조합해 스페인 독감을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셀’ 자매지인 ‘셀
숙주
와 병원체’ 11일자에 발표했다. 가와오카 교수팀은 2012년 1월 치사율이 50%가 넘는 치명적인 AI인 H5N1에 인위적인 돌연변이를 일으킨 논문을 ‘사이언스’에 투고해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던 연구팀이다. ... ...
스파이더맨 두 '악당(?)'의 과학적 비밀
과학동아
l
2014.04.30
해리 오스본. -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 제공 내생적 레트로바이러스는 HIV와는 달리 아예
숙주
의 유전자 속에 통합돼 살아가는 바이러스다. 유전자 속에 통합돼 있기 때문에 생식세포를 통해 후손으로 전염된다. 생식세포 속 유전자는 수정란 이후 뇌세포부터 피부세포까지 모든 세포로 전해지기 ... ...
괴테는 어떻게 꽃이 잎의 변형기관이라는 사실을 알았나
2014.04.21
이런 결합이 일어난 뒤 식물 단백질이 파괴됐다. 파이토플라스마 박테리아의 또 다른
숙주
인 매미충(Aster leafhopper). 실험 결과 매미충은 정상 꽃이 핀 식물보다 엽화된 꽃이 핀 식물을 선호했다. - 위키피디아 제공 연구자들은 추가 연구를 통해 SAP54가 식물의 RAD23이라는 단백질에도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