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품
경품
상금
형상
이미지
상복
구체화
뉴스
"
상
"(으)로 총 2,918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 바이오 원천기술 개발에 5594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3
재생의료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92억원을 투자한다. 질병이나
상
해 등 조직의 손
상
에 대비해 줄기세포 데이터(ATLAS)를 사전에 구축한다. 이를 기반으로 재생의료 치료제 및 기술을 개발하는 원천기술 연구를 새롭게 지원하며 45억원을 투입한다. 저출산 고령화 시대를 대비해 혈액수급 안정화를 ... ...
[과기원은 지금] 김지연 UNIST 석박과정생, 2022 대한민국 인재
상
수
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1.03
대한민국 인재
상
은 미래 사회를 이끌어 나갈 다양한 분야의 청년 우수 인재에 수여하는
상
이다. 김 석박과정생은 최원영 UNIST 교수팀에서 금속 유기 물질이라는 다공성 소재 개발에 힘쓴 공로를 인정받았다 ... ...
권재민 핵융합연 책임연구원 '자랑스런 KFE인
상
' 수
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이론, 모델링 연구 분야에 공헌해왔다. 가
상
핵융합로 개발에도 참여하며 가
상
KSTAR 개발도 주도했다. 핵융합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한국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 ‘레카네맙’, 임
상
서 3번째 사망자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23.01.01
공통적으로 뇌출혈 증
상
이 나타난 가운데 에자이는 지난해 7월 14일 개정한 임
상
시험 사전 동의서에서 이 약의 복용이 치명적인 뇌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경고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사이언스에 따르면 이들 사망한 참가자는 모두 개정된 사전 동의서에 서명하지 않았다. 사망한 ... ...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두번째 비행시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01
"비행시험 전 발사경로와 관련 있는 영공 및 해
상
안전에 대한 조치를 했으나 군사보안
상
의 문제로 인해 모든 국민들께 사전 보고드리지 못하였다"고 설명했다 ... ...
[일
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
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특별기고] '허준이 필즈
상
' 못다전한 이야기
2022.12.30
훌륭한 젊은 학자들을 발굴하고, 노출시키고, 격려하는
상
의 가치가 주목돼 주요
상
들이 재편되면 어떨까. 박형주 아주대 수학과 석좌교수. ※필자소개 박형주 아주대 수학과 석좌교수. 1986년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1995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설제 원리 적용한 냉장고 나올까
2022.12.27
거라고 내다보고 있다. 앞으로 길에 뿌려진 염화칼슘을 보면 어는점 내림 현
상
을 이용한 냉장고나 에어컨이 떠오를 것 같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 ...
[과학게시판] 어린이과학관 관찰놀이터 개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연구 분야에서 성과를 낸 조동완 지질연 광물자원연구본부 책임연구원을 포함해 29명이
상
을 받았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과학기술 데이터 정책 계간지 'S&T DATA’를 창간했다고 26일 밝혔다. S&T DATA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국내·외 과학기술 데이터 정책 동향과 전망, 데이터 관련 ... ...
[과학게시판] 아태 측정표준 협력기구 젊은 과학자
상
에 표준연 이석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12.21
수여하는 2022년 대
상
수
상
자로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아시아 학자 최초다. 해당
상
은 관련분야의 전세계 학자 중에서 국제적으로 선도적이고 탁월한 업적을 이룬 학자에게 수여한다. 김 석좌교수는 세계 최초로 컴퓨터를 이용해 기계장치를 자율적으로 설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