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초리
몽둥이
송골매
해동청
주걱매
종아리채
맹금
뉴스
"
매
"(으)로 총 51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탄소나노튜브, 식물처럼 기른다
2014.08.10
매
우 정교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정보를 처리하는데 드는 에너지도
매
우 적었다.
매
초 고화질의 동영상을 찍는데 63mW(밀리와트) 정도의 전력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컴퓨터로 사람의 뇌를 구현하는데 한 발 다가갔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
[2014서울서계수학자대회 기념] 필즈 포커스-2014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08.01
교수는 미국 프린스턴대와 스탠퍼드대의 수학과 교수다. 그녀는 쌍곡기하학에서
매
우 뛰어난 업적을 세워 지난 세계수학자대회 초청강연자로 선정된데 이어 이번 대회에서는 기조강연자로 선정됐다. 소피 모렐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시무라 다양체'라고 하는 기하학적 대상을 이용해 ... ...
“양수 검사 대신 혈액 검사로 99.9% 정확하게 태아 진단”
과학동아
l
2014.07.29
예정이다. 오핀 부사장이 한국을 찾은 것도 이 때문이다. 오핀 부사장은 “한국에도
매
년 60만 명이 임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들이 간단하고 안전한 산전검사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필요가 있다고 역설하고 있다. 위비 교수는 15살에 첫 발작을 일으킨 뒤 수년 동안 거의
매
주 발작을 일으켜온 샌드라라는 환자가 온갖 약물치료가 실패로 돌아간 뒤 54세가 돼서야 왼쪽 측두엽 일부를 절제하는 수술을 한 뒤 3년 째 발작이 일어나지 않아 지금은 수술 전도사가 된 사연을 소개하고 ... ...
이제 유전자치료도 편집의 과학?
2014.06.30
조건이었고 자신도 알려고 하지 않았다. 만에 하나 둘 다 APOE4인 걸로 나오면 여생을 치
매
공포로 살아야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여기까지는 그래도 확률이므로 희망은 있지만 어떤 유전자의 변이형은 100%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우리는 이를 유전병이라고 부른다. 색맹, 혈우병 등 여러 ... ...
점점 닮아가나봐, 독사의 모습으로
과학동아
l
2014.06.22
‘바이올로지 레터스’ 11일자에 발표했다. 독이 없는 주홍왕뱀은 천적인 붉은꼬리
매
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줄무늬 모양이 비슷한 산호뱀을 흉내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1960년대 이후 샌드힐즈 지역에서 산호뱀이 발견된 사례는 없다. 즉 현재 이 지역에 서식하는 주홍왕뱀이 산호뱀과 ... ...
엑스맨은 돌연변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06.08
흥행 열풍이 식을 줄을 모른다. 2000년 첫 선을 보인 ‘엑스맨’은 1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매
시리즈가 개봉할 때마다 극장가를 들썩이게 만든다. 엑스맨 시리즈는 ‘인간 대 돌연변이’의 갈등이라는 큰 틀을 공유하고 있다. 돌연변이를 경계하는 인간사회에 대해 돌연변이들이 온건파와 ... ...
시어도어의 사랑은 축복받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5.18
셈이다. 헛헛한 마음을
매
순간 어루만져주는 상대라면 아무리 목소리만 존재하더라도
매
료될 수 있지 않을까. 주인공 시어도어는 사만다를 항상 자신의 셔츠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 대화를 나눈다. 실체없는 사만다와의 사랑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 UPI코리아 제공 ●과학이 인간사회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한다”고 쓰고 있다. 또 “임신한 적이 없는 여성일지라도, 젖가슴은 만약을 대비해
매
달 미미하나마 조직화되고 느슨해지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월경주기 동안 젖가슴의 부피는 수분함량과 세포성장 정도에 따라 13.6% 정도 변한다고 한다. 젖가슴이 이렇게 동적인 기관, 즉 필요할 ... ...
파란 장미-미니 무궁화-시들지 않는 카네이션… "꽃보다 과학"
과학동아
l
2014.05.02
속에 있는 피튜니아의 청색 유전자도 함께 주입되는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야생화인
매
발톱꽃의 청색 유전자를 주입해 파란 장미를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분자유전학적인 방법으로 대기오염에 강한 꽃을 만들 수도 있다. 도로변의 피튜니아에 환경 스트레스를 막는 두 유전자(SOD2,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