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자"(으)로 총 45,390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연 마이크로 OLED, 뇌에 삽입해 뉴런 자극한다동아사이언스 l2025.07.06
- (a) KAIST와 인천대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마이크로 OLED 집적 광유전학용 유연 뉴럴 프로브 모식도, (b) 다중 레이어 상세 구조, (c) 마이크로 OLED 개별 픽셀 구동 시연 장면, (d) 마이크로 OLED의 전기광학적 특성 그래프.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유연한 마이크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활용해 뇌에 삽입 ... ...
- 최민희 의원 "연구실 안전사고 이어져…과기정통부 제도 점검 촉구"동아사이언스 l2025.07.06
- 2일 폭발 사고가 발생한 충남대 연구실. 연합뉴스 제공 올해 4월 한양대와 6월 KAIST 연구실 폭발 사고에 이어 2일 충남대 연구실에서도 화재사고가 일어나며 연구실 안전 지침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 ...
- "7년이면 실험실에서 정자·난자 만들어…동성커플 자녀도 가능"동아사이언스 l2025.07.06
- 인간의 난자와 정자를 나타낸 그림. 실험실에서 정자와 난자를 생성해 개인의 생식능력 여부나 성별, 나이와 관계없이 생물학적 자녀를 가질 수 있는 체외 생식세포 생성(IVG) 기술 개발이 최근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실험실에서 정자와 난자를 생성해 개인의 생식능력 여부나 ... ...
- 50년 러브버그 연구 美 곤충학자 "살충제 효과 없다…출현 패턴 파악해야"동아사이언스 l2025.07.06
- 50여 년간 러브버그를 연구한 '러브버그' 전문가 놈 레플라 미국 플로리다대 곤충학과 교수. 레플라 교수 제공 수년째 여름만 되면 국내에서 '러브버그'가 기승을 부리며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50여 년간 러브버그를 연구한 '러브버그' 전문가 놈 레플라 미국 플로리다대 곤충학과 교수는 2일 진행 ... ...
- [표지로 읽는 과학] 질병 일으키는 단백질 분해 전략동아사이언스 l2025.07.06
-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 실린 이미지의 파란색 부분은 단백질 인산화효소인 ‘NEK7’이고 청록색 부분은 E3 유비퀴틴 리가아제 기질 수용체인 ‘세레블론(CRBN)’이다. 주황색 부분은 NEK7과 세레블론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분자 ‘MRT-3486’이다. MRT-3486은 세레블론 ... ...
- [시민과학풀씨]③ 야생의 노린재는 어떤 냄새가 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5.07.06
- 회양목에서 발견된 큰광대노린재.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와, 예쁘다! 향긋한 꽃 냄새가 나는 것 같아요." 5월 14일 국민대에 모인 지구사랑탐사대원들이 갓 채집한 노린재의 냄새를 맡으며 감탄했다. 지구사랑탐사대는 동아사이언스 과학 잡지 '어린이과학동아'와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 ... ...
- [헬스토크] "IQ 70도 행복할 수 있다"…'경계선지능' 아이에 필요한 건 '기다림'동아사이언스 l2025.07.06
- 홍순범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 교수. 서울대병원 제공 경계성지능 아동은 또래보다 학습과 적응 속도가 느리다. 이들에게는 자신만의 속도에 맞는 성장환경이 필요하지만, 진단이 쉽지 않은 특성상 학교와 일상에서 충분한 배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4일 경계선지능 아동의 특징과 어려움 ... ...
- "헬로, 닥터 윗슨"…국제우주정거장서 우주인이 소개한 韓 초등학생 그림2025.07.05
- 연세대 미래교육원 대강당 앞에 HIS Youth 수상작으로 선정된 그림이 전시돼 있다.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이날 행사는 지난 1회 대회에서 초등부를 대상으로 열린 그림 공모전 ‘우주정거장에서의 하루’에서 최종 선정된 20점의 작품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소개되는 자리였다. 작품들은 ... ...
- 기후위기 '뉴노멀' 난기류 피하는 조종사들의 '1초 승부'과학동아 l2025.07.05
- 과학동아 제공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국내 항공기들이 맞닥뜨린 난기류는 무려 2만 7896건이었다. 2023년에 비해 35.6% 증가한 수치로 항공기 운항 횟수가 늘어난 것을 고려해도 가파른 상승이다. 기후 위기가 더욱 심각해질 다음 세기엔 비행기를 목숨 걸고 타야 할까. 다행히 과학 ... ...
- 생물의학 논문 초록 13.5%, 생성형AI 도움 받았다동아사이언스 l2025.07.05
- 지난해 과학 논문의 최소 13.5% 이상에서 AI 챗봇의 도움이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공지능(AI) 기술의 진화로 과학 논문에도 AI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 인공지능(AI) 챗봇이 과학 논문 작성에 얼마나 관여하고 있는지 드러났다. 드미트리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