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네랄
광석
무기물
미네럴
금속광물
금속
조암광물
뉴스
"
광물
"(으)로 총 508건 검색되었습니다.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동물 화석이 알려지지 않은 상태였다. 그런데 1948년 호주의
광물
조사관 레지널드 스프리그가 호주 플린더스 산맥에 있는 한 폐광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다가 우연히 사암 조각에서 화석을 발견했다. 훗날 ‘에디아카라(Ediacara) 화석군’으로 불리게 된 선캄브리기아 시대의 이 ... ...
[출동! 명예기자]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03
만드는 자연사박물관에서는 모두 볼 수 있을 거예요. 아마 세계에서 가장 멋진
광물
박물관이 되지 않을까요? 그때까지 조금만 기다려 주세요. ※ 더 많은 과학기사를 2015년 3월 1일자 어린이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2년 전 러시아 충돌 운석, 여전히 미스터리
2015.02.17
뉴스사이트 ‘스페이스닷컴’과의 인터뷰에서 “1999 NC43과 첼랴빈스크 운석우의 궤도와
광물
성분 등을 비교한 결과 둘 사이에 공통점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 천체과학연구소는 애리조나 주 투산에 위치한 비영리 천체물리학 연구소다. 레디 박사는 “운석우 조각이 너무 작고 이들의 궤도도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5.02.10
어디서 많이 들어본 것 아닙니까? 다우징이란 나무나 금속 막대를 가지고 땅속의
광물
이나 보석, 석유, 수맥 등을 찾는 방법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수맥을 찾는 방법으로 잘 알려져 있지요. 유투브에서 dowsing으로 검색하면 강좌 동영상도 여럿 볼수 있습니다. 이걸 하는 사람은 흔히 L자 모양의 ... ...
[기고/남승일]세계가 북극으로 몰려드는 까닭은
동아일보
l
2015.01.29
때문이다. 또 북극해의 해빙이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해저에 매장된 막대한 에너지와
광물
자원에 대한 탐사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해빙이 녹으면서 열리는 북극 항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 국가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관심사가 됐다. 현재 독일 중국 노르웨이는 향후 북극에서 ... ...
‘슈퍼지구’ 내부는 이렇게 생겼구나
2015.01.23
마리우스 밀로 로런스리버모어 국립연구소 박사팀은 ‘스티쇼바이트(stishovite)’라는
광물
에 500만 기압에 이르는 초고압을 가해 지구 질량의 5배가량인 천왕성과 해왕성급의 슈퍼지구 내부 상태를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23일자에 발표했다. 스티쇼바이트는 지구의 ... ...
찜질한다고 몸이 건강해질까?
과학동아
l
2015.01.13
옮긴 것에 불과하거나 홍보 효과를 노린 과장이라고 봐야 합니다. 혹시 불가마에 쓰는
광물
의 성분과 거기서 나오는 원적외선의 파장, 효능을 명시해서 운영하는 찜질방이 있다면 알려 주시기 바랍니다. 직접 가서 확인해 봐야겠어요. 그렇다고 지금 찜질방이 나쁘다는 이야기를 하는 건 아닙니다. ... ...
매머드 멸종 불러온 빙하, 혜성 충돌 탓 아니었어?
2015.01.07
같은 점도 의심스럽다고 설명했다. 천체가 지면에 충돌하면 그 힘 때문에 지표면의
광물
들이 대륙 하나를 건널 만큼 먼 거리를 이동하게 되는 데 증거로 발견된 흔적들은 그렇지 않다는 지적이다. 마지막으로 연구팀은 혜성충돌 같은 사건이 있었다면 한 날 한 시에 다량의 흔적들이 만들어졌어야 ... ...
[북극으로 가는 ‘제2 쇄빙선’] 북극 전용 쇄빙선 2020년 취역한다
2015.01.02
북극이사회 옵서버 자격 획득 동아일보DB 제공 북극항로의 가장 큰 장점은 석유,
광물
, 목재 등의 수송 기간을 최대 절반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 가령 부산항을 출발한 배가 네덜란드 로테르담으로 갈 때 기존 수에즈 항로를 따라 인도양과 아프리카 해안을 거쳐 가면 24일간 2만100km를 가야 ... ...
고효율 태양전지 수명 10년으로 늘렸다
2014.12.08
수명을 크게 늘릴 수 있는 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태양전지는 실리콘 등
광물
질을 원료로 하는 무기태양전지와 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제작한 플라스틱 형태의 유기태양전지로 나뉜다. 유기태양전지가 효율은 더 뛰어나지만 사용 수명이 수년 이내로 낮아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