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양"(으)로 총 1,7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람을 찾습니다ㅏㅏ포스팅 l20220312
- 아니 열분 방과후 설레임 보시는 분들중에 그그그그분 좀 알려주세요. 기억이 않나요.그분이 그그그도전조중 한분이셨는데 그그그박보은 양이랑 덤덤으로 붙은 그그그분이요..아 누구셨찌 ...
- 브롤 4년차에 브롤강좌4 서지편포스팅 l20220309
- 속도가 대폭 올라간다. 한번쓰면 속도가, 두번쓰면 일반공격 사거리가, 마지막으로 3번 궁극기를 쓰면 적을 맞혔을때 나오는 투사체에 양이 많아진다. 또 가젯에 사기성도 잘 보여준다. 가젯이랑 궁극기를 잘써주기만 하면 바로 1티어 각이다.서지는 궁극기, 가젯의존도가 매우 높은 브롤러인 만큼 잘써주기만 하면 아주 좋아진다.+ 제작진들이 화나면 생기는 ...
- 바다이야기 1화포스팅 l20220308
- 시온이 가지고 숙소로 돌아갔고 다 같이 생각을 했다. 라리-그 아이는 누구였을까? 마냑 다시 만난다며는 친구가 되고싶어! 라료- 양~ 그걸 말이라고행~? 그게~ 중요한게 아니자나~! 하이디-그래 라료 말이 중요한 포인트야! 드레싱-그게 뭐? 시온-아마도 정체불명! 그 아이를 알아내는게 우리가 해야할 일이야! 하이디-근데 이 목걸이 왜 하필 그 ...
- 구글에 숨겨진 재미있는 게임들에 대해 알아보자!(2편)기사 l20220306
- 벽돌 게임을 처음 봐서 신기했어요! 무엇이 가장 재미있었나요? 저는 DINO SWORD 게임이 가장 재미있었는데 그 이유는 공룡에게 다양한 것들을 주기 때문이지요. 그 무기들로 선인장을 베는 모습이 참 특이했기 때문이에요. 다음번에는 차(te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 배 아플 때 마시는 매실차, 진짜 효과가 있을까?기사 l20220305
- 것 같은데, 과연 매실은 좋은 것일까요? 아니요!! 부작용도 있습니다. 출처;https://gojae.phpqs.xyz/154 부작용은, 매실청에는 굉장히 많은 양의 당분이 들어있습니다. (그래서 저희 엄마는 매실차를 설탕물이라고 하시며 매실차를 적당히 마시라고 하시죠) 매실차, 매실청을 지나치게 먹는 경우 당분이 몸에 떠돌면서 독이 될 수 ...
- 퐁당 슬라임&푹신 슬라임 만들기!포스팅 l20220305
- 핸드크림이 필요해요! 먼저 물풀을 그른에 부어 주세요! 되도록이면 많이 넣어주세요~ 소다를 넣어주세요!(1꼬집정도)(풀의 양에따라 달라요!) 섞어 주세요! 리뉴를 넣어주세요! 다시섞어 주세요! 이제 손반죽을 해 주세요!(좀 묻지만 비비고꼬다 보면 안 묻어요!) 퐁당슬라임 만들고 싶으신 분들은 이대로,푹신 ...
- 어제 아니면 그제 썰포스팅 l20220305
- 발표하는데 문제가 문제: 주스와 우유와 물을 섞은 액체를(?) 남학생 9명과 여학생 11명이 나눠 마시려고 합니다 한 명이 마실 수 있는 양을 구하시오 와 창의력 오지더라구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과연 그걸 먹을 수는 있을까요...? 우유+물 주스+물 이건 진짜 코 막고 먹기라도 할 텐데 주스+우유 이건 와... 그애 ...
- 냉전 시대에만 인류가 2개의 원소를 만들었다고?!기사 l20220303
- 게오르기 플료로프와 그의 연구진들은 화재경보기에 사용되는 아메리슘과 네온을 합쳐 더브늄이라는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지만 그 양이 너무나도 적어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합니다. 출처:위키피디아 하지만 야속하게도 2년 뒤인 1969년, 로렌스버클리 국립연구소가 캘리포늄과 과자 포장에 쓰는 질소를 합쳐 또 똑같은 원소를 만들어내 러더포듐과 똑같은 현 ...
- 라면을 먹으면 왜 몸이부을까?기사 l20220303
- 수 있습니다. 그리고 라면은 5대 영양소에서 탄수화물과 지방 밖에 없기 때문에 달걀을 넣어주면 단백질과 비타민 무기질 영양소도 함께 먹을 수있고 맵고 짠 국물도 순해져요. 그리고 대파를 넣으면 비타민과 무기질을 먹을 수 있어요. 그리고 대파는 불을 끄기 직전에 넣으면 됩니다. 콩나물도 넣어도 ...
- 흙이 없어도 식물이 살 수 있나요???기사 l20220303
- (수경재배의 장점과 단점) 먼저 수경재배의 장점은 환경관리 및 잡초 벌레등을 막기 쉽고, 수확시기를 조절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토양의 질이 악화 된 지역이나 작물을 키우기 힘든 지역에서도 신선한 농작물을 키울 수 있다. 단점은 토지에서 식물을 키우는 것에 비해 시설을 설치하고 관리하기 위한 비용 및 노력이 많이 든다. (수경재배하는 식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