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문
후기인상파
인상파
후반기
보유
d라이브러리
"
후기
"(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조새는 날았을까 걸었을까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 즉 5천4백만년 전에 살던 새들이 오늘날과 같은 새의 유형임이 증명됐고 시신세
후기
지층에서 왜가리속들과 독수리들의 잔해가 발견됐다. 전기 지층에는 오리와 뜸부기들 그리고 플라밍고의 뼈들이 출토됐다.시신세 말기, 즉 약 4천만년 전부터 지금까지는 적어도 30여 종의 근대새들이 있었던 ... ...
잠자리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곤충의 하나로 날개를 복부 뒤로 접을 수 없는 고시군(古翅群)에 속한다. 고생대
후기
까지는 고시군에 속하는 몇개의 목(目)이 있었으나 현재는 하루살이 목과 잠자리목만 남아있다.현재 잠자리의 종류는 세계에 약 5천여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약 95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곤충학계에 보고돼 ... ...
수리(數理)로 풀어본 '미의극치' 황금분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제 6의 봉인'도 황금장방형 구도에 의해 그려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후 근대
후기
인상주의의 대가인 폴 세잔과 조르쥬 슐러 등에까지 황금분할의 비법은 내려져온다.건축조각 분야에서는 비트루비우스와 같은 건축가들에 의해 가장 먼저 황금분할이 적용되고 응용됐다. 대표적인 황금비례를 ... ...
공룡시대 지구를 뒤덮었던 양치식물 생태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대륙에서는 대륙의 중심부에서 커다란 빙하의 흔적이 발견됐다고 한다. 그러나 빙하
후기
에 닥쳐온 추위와 건조한 기후조건 하에서도 글로스프테리스는 살아 남을 수 있었다.도전은 새로운 응전을 낳았다. 글로소프테리스에서 보듯이 추위와 건조에 견딜 수 있는 양치류가 생겨났다. 이러한 현상은 ... ...
미래의 과학자 키우는 전세계 화학인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주무대는 물론 실험시험과 학과시험이 치러지는 이틀간의 일정이지만 그 전
후기
간에 이루어진 모든 행사, 예를 들면 7월 16일 마일스 회사가 후원한 아메리카나 이브닝 피크닉에서는 포크댄스 컨트리뮤직 폭죽 등으로 외국 학생들을 열광하게 하였다. 7월 17일 오후 카네기멜론대학 운동장에서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빙하작용의 유력한 증거들을 다수 확보할 수 있었다. 마침내 1837년에 그는 지질시대 최
후기
(期)인 신생대 제4기에 대빙하기가 있었음을 제창하기에 이르렀다. 즉 제4기의 지구에 한랭기후의 내습이 있었다고 주장한 것이다.아가시즈의 노력으로 제4기 빙하기가 확인된 후 새로운 사실들이 연달아 ... ...
3. 생체 리듬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월경기간을 피해야 할 필요는 없으나 배란
후기
내에서의 성적이 좋으므로 시합일을 배란
후기
에 맞춰보는 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됐었다.7개월간의 평균생리주기가 29.3±2.3일로 이 분석표가 작성된 7월의 월경기간을 기준으로 한다면 예정된 10월초의 시합일에 배란주기가 예상되므로 특별한 변화가 ... ...
2 악천후 불문, 저공 침투 가능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접근해 선제공격을 가할 수 있다. 또 이 비행기는 새로운 YF-119엔진을 장비해 실용적으로
후기
연소기를 사용하지 않고 초음속 순항비행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세계 최초의 전투기라고 할 수 있다.기존의 F-15 전투기에 비해 두배의 항속거리를 가지고 있어서 장거리 공격임무에 적합하며 ... ...
황사현상의 진원지를 가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인 난전원인(蘭田猿人)이 요 근래에 발굴됐다.리시뢰스 위에 쌓인 마란뢰스는 제4기
후기
(10만년~1만년 전)에 퇴적된 층으로 두께는 7m 정도에 불과하다. 지표에 드러난 포투뢰스는 제4기 빙기가 끝난 현세(1만년 전~현재)에 퇴적된 층으로 두께는 1.5m 정도다. 신석기시대의 채색토기 등은 바로 이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쉽고 재미있게 천문학 이론을 설명한 것에 놀랐으며, 아시모프에게 많은 것을 배웠다고
후기
에 토로한 바 있다. 뒤늦게나마 아시모프의 저작들이 활발하게 우리나라에 소개되고 있는 중에 갑작스런 그의 서거 소식은 큰 충격이 아닐 수 없다.그의 단편중에는 '최후의 질문'(The Last Question)이라는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