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심
복판
한창
center
중도
중추
d라이브러리
"
한가운데
"(으)로 총 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즐겁고 유익한 여름을! 자연관찰을 위한 안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가족들끼리 토의해본다. ▲날으는 말 : (그림4)와 같이 두꺼운 종이에 그림을 그린뒤
한가운데
나무젓가락을 끼우고 손으로 비벼 회전시키면 말이 산위로 날아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같은 현상은 눈의 잔상효과의 하나로 TV가 이 현상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림5)와 같이 그림을 ... ...
세계에서 가장 큰 화산호(火山湖) 백두산 천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갑자기 소나기가 억수같이 쏟아지기도 하고 산정에서는 눈이 펑펑 내리는데 천지
한가운데
는 비가 억수로 쏟아지는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에서 강수량이 가장 많은 지대인 만큼 연강수일수는 2백7일에 달한다. 첫눈은 8월 중순부터 9월 초순 사이에 내리고 다음해 6월 중순경까지 눈이 내리는데 ... ...
천문학의 최전선 전파천문학이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아니었다.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인공의 불빛이 없고 날씨가 좋은 높은 산이나 사막
한가운데
를 찾아 천문대를 세워놓고 며칠씩 밤을 새워가며 별빛을 잡아모으는데 온갖 노력을 다해왔다. 외계로 열린 새로운 창이렇듯 오랫동안 어려움을 겪던 천문학계에 금세기에 들어와서 아무도 생각치 못하던 ... ...
국내외에서 인기,거의 완전취업 한국해양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성격을 잘 말해준다. 부산 영도의 태종대를 향해 가면 태종대에 이르기 직전에 왼쪽바다
한가운데
해양대학이 한눈에 들어온다. 조도(朝島)라는 섬이 그대로 해양대의 캠퍼스이고 이 캠퍼스는 방파제 도로를 통해 영도와 연결돼 있다. 한마디로 우리나라의 관문이라 할 부산 앞바다에 한국해운을 ... ...
진화과정을 증명하는 마다가스카르섬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태고때 곤드와나 대륙의
한가운데
있었다. 이곳에 서식하는 생물의 80%가 다른곳에는 없는 독특한 것이다. 이 기이한 생태계는 어떻게 이루어진 것일까. 마다가스카르는 아프리카 대륙의 동쪽 인도양에 떠 있는 남북 약 1천 6백km, 동서 약 5백km, 면적 58만 7천 41㎢의 섬이다. 남회귀선이 남부를 ... ...
기암의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수 있다. 그러나 암석의 종류가 모두 달라 화강암이나 변성암등 다양하다. 그리고 사막
한가운데
에 어째서 이런 바위가 있는가에 대하여 분명한 해명이 아직은 없는 상태다.그리고 지금은 대지 전체가 화석처럼 되어 있는 내륙부이지만 '맥드널 레인지'를 비롯한 몇개의 암석산맥에는 깊은 균열이 ... ...
울릉도와 독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거대한 화산체의 일부만이 바다 위로 모습을 드러낸 것이 울릉도이다. 망망한 동해바다
한가운데
우뚝 솟아 오른 화산섬(火山島) 울릉도와 독도. 깎아세운듯 기립해 있는 해안절벽과 바다를 수놓은 기암괴석이 절경을 이루는 곳이다. 울릉도와 독도는 화산폭발의 결과로 생긴 섬으로 우리나라와 ... ...
종양수술의 새로운 가능성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수 있게 손수 고안해낸 X선장비의 도움을 받아 이윽고 환자의 가슴 근육을 뚫고 폐종양의
한가운데
에 바늘을 꽂는다. 두번째 바늘을 10인치 아래에 꽂고 두 전선을 구부려 이은 후 박사가 고갯질을 하자 조수는 주홍빛 상자의 다이얼을 돌린다. 치료가 시작된 것이다. 혹시 아프지 않느냐는 박사의 ... ...
수확량,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적의 새농법 눈앞에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것으로 나타나 더욱 각광받고 있다. 한편, 보리쌀에는 '종구'라고 불리는 검은 줄이
한가운데
에 나있는데, 이를 자르는 것을 할맥(割麥)이라고 한다. 즉, 검은 줄을 기준으로 보리쌀을 양분하는 것이다. 할맥을 하면 검은줄이 사라지고 입자가 작아져 수분의 흡수도 좋아진다. 따라서 찰지고 ... ...
성공단계의 무공해 살충제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거의 찾을 수 없다. 공해-자연과 인간에 대한-는 도시의
한가운데
로 응축되어 이미 그 한계수위(限界水位)의 위험성을 경고한지 오래다. 논과 밭에 뿌려진 농약에 의한 공해(독성)까지도 사람들이 모여사는 도시로 몰려오고 있다. 과학의 문제는 과학의 힘으로 풀어야 한다는 ... ...
이전
43
44
45
46
47
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