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d라이브러리
"
프로젝트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기술을 갖춘 국가가 모여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서로의 기술력과 경험을 공유하는
프로젝트
가 바로 ITER다. 과학기술도 국가의 자산인 만큼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경쟁이 있었다. ITER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다른 분야의 연구에서도 국제협력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Q ... ...
Q&A로 풀어보는 핵융합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전 세계적으로 핵융합 연구를 선도하는 국가는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
프로젝트
에 참여한 7개 국가입니다. 이들은 각각 KSTAR와 같은 핵융합연구장치를 보유하고 있죠.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핵융합 반응로는 영국에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이 운영하는 유럽연합 공동핵융합연구장치(JET)인데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2호
손으로 그린 나선 그림이 정확한 피치 각을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될까요? 이
프로젝트
를 이끄는 패트릭 트로이타르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자연과학박물관 연구원은 시민천문학자의 그림을 토대로 계산한 피치 각과 실제 피치 각을 비교해봤습니다. 또 인공지능 알고리듬이 자동으로 나선팔을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수 있도록 이미지로 제공된다. 또한 지도를 보며 다양한 사건들을 되짚어 보고 토의하는
프로젝트
를 진행할 수 있다. 한 예로 2013년, 2019년 숭례문 주변 지도를 비교해 문화재의 소중함을 느끼고 공공의식을 높이는 방안을 찾을 수 있다 ... ...
꿈의 에너지 현실이 되다, 핵융합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 [인터뷰] 유석재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장Part3. 50년 인류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 [인포그래픽] 핵융합 에너지가 도시를 밝히기까지 [인포그래픽] 첨단 과학 및 IT 기술의 결정체, 핵융합 발전소Part4.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되다Q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K-DEMO)를 건설할 계획이다. 한국은 비록 핵융합 에너지 연구에 뒤늦게 뛰어들었지만, KSTAR
프로젝트
와 함께 엄청난 성장을 거뒀다. 그리고 현재는 핵융합 연구의 중심인 ITER에서 전 세계 연구자들과 나란히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라는 꿈을 향해 뛰고 있다. ※필자소개이현곤. ... ...
[인포그래픽] 핵융합 에너지가 도시를 밝히기 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KSTAR)부터 핵융합 발전소가 건설되기까지 약 50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되는 초장기
프로젝트
다. 각 연구 과정에서 필요한 장치의 특징과 중점적 연구분야 등을 알아봤다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2003년에는 전 세계 핵융합 선진국들이 공동으로 수행하는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이터)
프로젝트
에 당당히 합류했다. 2007년에는 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KSTAR·케이스타)를 완공함으로써 핵융합 기반기술을 확보했다. 현재는 갈수록 심해지는 기후변화와 앞으로 다가올 에너지 부족 문제에 대비해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천체를 관측할 수 있는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스타링크와
프로젝트
카이퍼가 야기할 수 있는 또 다른 문제는 인공위성의 충돌이다. 현재 지구 주변에는 2만 개가 넘는 인공우주물체가 떠다니고 있다. 이중 ‘핫스팟’인 2000km 고도 이하의 저궤도에만 1만 4000여 개가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자축의 시간은 그리 길지 않았다. 나로호의 후속인 ‘한국형발사체(누리호)’
프로젝트
가 2010년 3월부터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누리호는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첫 우주발사체로, 고도 600~800km 지구저궤도에 1.5t(톤)급 실용위성을 쏘아 올리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나로호를 개발한 경험은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