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탓"(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환경이 변한 탓도 있겠지만, 제비가 겨울을 나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환경이 바뀐 탓일 수도 있거든요.제비를 찾는 사람들제비가 돌아오지 않는 정확한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직접 나선 사람들이 있어요. 바로 전국에서 제비의 수를 조사하는 시민 과학자들이 그 주인공이랍니다.서울시는 작년부터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주식으로 삼은 것이다. 단 구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동물을 주식으로 택한 탓에, 하루 시간의 대부분을 부지런히 움직이면서 끊임없이 먹이를 잡는 데 사용한다. 오히려 체중이 많이 나가는 종일수록 영양가가 적은 먹이를 선택해도 충분히 생존할 수 있다. 늘 풀잎만 씹어먹는 고릴라는 체중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돌리는 등 복잡한 행동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이를 사람 팔에 그대로 붙인 탓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얘기다. 인간의 손목은 로봇 팔과 달리 회전이 불가능하다(한쪽 손으로 다른 쪽 팔뚝을 잡아 고정시켜놓고 문고리를 돌리는 동작을 해보자. 손목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걸 깨달을 것이다). 대신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취재했지만 애초에 그럴 필요가 있는 기삿거리가 아니었다. 그래도 취재비를 탄 탓에 송고했는데, 마침 한국형 핵융합로가 열네 번째로 실패하고 중국 대기근도 정부의 통제로 접근이 허용되지 않으면서 비어버린 메인 자리에 그냥 올라가버렸다. 그리고 연동된 일간지 과학 면에도 올라가고,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저주파 음파다. 가청주파수 이하의 음파기 때문에 ‘들을 수 없는 소리’로도 불린다. 그 탓에 대중에겐 험과 함께 미스터리 소리로 알려졌는데, 사실 인프라사운드는 정체가 명확하다. 대규모 지진이나 해일, 화산폭발, 운석 낙하, 오로라 등 자연현상이 원인이다. 지하핵실험, 지표 발파, 폭발사고, ... ...
- [Career] “ 새로운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제가 만들죠”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초고성능 컴퓨팅(HPC) 분야의 기술은 고가의 운용비 탓에 연구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었다. 이에 2004년 야후에서 ‘하둡(Hadoop)’이라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하둡은 고가의 병렬파일 시스템이 아닌 분산파일 시스템을 도입해 속도는 낮지만 저비용으로 데이터를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가는 언덕을 오르는 내내 그는 기침을 하고 눈물을 흘렸다.그 다음은 진동이었다. 기분 탓인지 모르나, 그는 날마다 발밑이 흔들리는 듯한 진동을 느꼈다. 아주 미세한 진동. 발밑을 깎아내고 파내고 터트리는 불안정한 느낌. 앉아 있으나 누워 있으나 걸어 다니나 그 진동은 그의 몸을 떠나지 14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많이 선보였다. 해설자들이 판세를 따라잡는 데 시간이 걸린 것도 알파고의 새로운 기풍 탓이 컸다. 이번 대국에서 가장 체면을 구긴 바둑의 정석은 ‘맛’이다. ‘고수는 뒷맛을 남기지 않는다’라는 격언에서 따와, 바둑 해설에서도 맛이란 표현을 많이 쓴다. 맛이란 당장 모양을 결정하기보다는 ... ...
- [Editor’s note] 모르는 재미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말에 되돌아보면 계획대로 살지 못한 경우가 태반이지요. 스스로 탓하지는 마세요. 대부분은 그렇게 후회하고 또 계획을 세우고 그러거든요.오히려 삶은 불확실하기에 재미있다고도 합니다. 저도 제가 수학동아 편집장이 될 줄은 몰랐습니다. 여러분도 지금 꿈을 갖고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만족해하는 식이었다. 피셔, 할데인, 라이트의 논문들이 워낙 수식이 많고 복잡한 탓에 현장 생물학자들이 그 중요성을 제대로 보지 못했기 때문이 아닐까 필자는 추측한다.예를 들어, 위대한 유전학자 테오도시우스 도브잔스키는, 한 종 내에서 유전적 다양성이 보존되는 까닭은 그 종이 갑자기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