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송이송이 얼음송이, 눈 결정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본책 8쪽과 함께 보세요! 한여름에 내리는 하얀 눈을 만들어 볼까요? 얼음이 아니라 종이로 말이에요. 육각형 구조에 규칙적으로 뻗어나가는 가지 모양의 눈 결정을 만들 수 있어요. 눈 결정은 왜 육각형일까? 하늘에서 내리는 눈을 가져다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아름다운 눈 결정의 모습을 볼 수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와 함께하는 독서활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본책 54쪽과 함께 보세요! 아아~, 이건 악몽일 거야! 이대로 끝없는 방의 미로에 갇혀 미라가 될 순 없어!우리가 이곳을 탈출할 수 있도록 너희가 도와줘. 다음 세 가지 미션을 해결하면 돼! 미션 1 나만의 숫자를 만들어라 현재 대부분 나라에서는 1, 2, 3...처럼 인도에서 시작된 아라비아 숫자를 쓰고 ... ...
- [핫이슈] 어수동 같이 읽고 놀이북 활동하자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않는 날이 많아서 우리반은 온라인으로 활동을 했어요. 원래는 수업시간에 잡지나 만화책을 보는 건 금지인데, 어수동은 읽어도 된다고 하니 친구들이 무척 좋아했지요.첫 번째 시간에는 각자 어수동을 읽을 수 있는 시간을 줬어요. 수학 동화인 ‘우주순찰대원 고딱 지’는 모두 읽어보기로 했어요 ... ...
- [기획] 사투리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내년 설에 마카 모예.” 지난 2월 3일, 강원도 강릉시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내년 설에 모이자는 현수막을 내걸었어요. 여기에 쓰 ... 이 말은 안 쓰는데?’ 라는 생각이 들면 부모님, 선생님,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눠 보세요. 이 책을 계기로 살아 있는 사투리를 느껴보길 바라요 ... ...
- “과학과 지식 공유 막아선 안 돼”과학동아 l2021년 06호
- 1948년 제정해 공포한 ‘과학자 헌장’에도 명시돼 있다. 제1항인 과학자의 책임에는 과학자는 지식이 선용되도록 전력을 다해야 하며 과학적 성과를 완벽히 공표하고 인종과 민족, 분야를 초월해 다른 연구자와 교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연구가 이뤄낸 ... ...
- [진실 혹은 거짓] 수학으로 사건 해결! 거짓 법과 수학, 우리 친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전해질 뿐이야. 그것도 페르마의 아들이 아버지가 남긴 편지와 쪽지를 모아 1679년에 책을 만든 덕에 가능했지. 만약 페르마가 어렸을 때부터 수학에 관심을 갖고 공부했더라면 수학의 역사가 어떻게 바뀌었을지 궁금하지 않니? “아이를 죽인 건 바로 현장에 있던 간호사 뤼시아 더베르크 ... ...
- [이달의 책] 당신을 열 번째 과학카페로 안내한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직접 식물고기 패티 햄버거를 먹어보며 ‘물리는 맛에 비해 비싸다’는 평도 전했다.이 책은 과학은 좋아해도 논문을 읽기는 부담스러운 이들에게 특히 유용하다. 한 편의 에세이처럼 가볍게 최신 과학을 접해보자 ... ...
- 전략 회의 10분 전! 폴리매스란 무엇일까?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난제!프랑스의 변호사였던 피에드 드 페르마는 1637년 고대 그리스 수학자 디오판토스의 책 ‘산법’의 여백에 ‘n이 3 이상의 정수일 때, 을 만족하는 정수 a, b, c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적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로 알려진 이 문제는 단순하게 생긴 모양 때문에 당시 많은 사람이 ... ...
- [수담수담]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함기석 작가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영감을 줘요. 이렇게 평소 생활하면서 보고 듣고 만나는 모든 것이 시의 소재가 되죠. 또 책과 TV를 보는 등 간접적인 경험에서 재미를 느낄 때도 작품을 쓰고 싶다는 마음이 생깁니다. 눈으로 볼 수 있고 실체가 있는 직간접적인 경험과는 다르게, 눈에 보이지 않는 존재가 영감을 줄 때도 있어요. ... ...
- [IBSX수학동아] 수학자는 수학세계를 탐험하는 모험가-황준묵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때까지 아인슈타인이 만든 상대성이론처럼 물리이론을 일반인도 알 수 있게 설명한 책들을 보며 이론물리학에 매력을 느꼈고, 결국 대학교는 물리학과로 진학했죠. 그런데 성인이 된 뒤 생각해보니 물리이론보다는 기하학이론에 끌렸던 것 같습니다. 그 당시에는 물리이론이 기하학을 바탕으로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