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정"(으)로 총 1,305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예기자, 물의 행성을 탐험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6호
- 먹는 순둥이라구~. 하지만 지금 전 세계 바다에서 점점 사라지고 있어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있어. 아프리카에서 온 펭귄?내가 누군지 아니? ‘남극에서 온 펭귄’ 아니냐고? 후훗. 천만의 말씀! 난 아프리카에서 온 자카스펭귄이야~. 아프리카에도 펭귄이 사냐고? 그럼 물론이지~! 내 고향은 ... ...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3호
- 둑중개와 잔가시고기, 개느삼 같은 생물 15종은 ‘포획채취 등 금지 야생생물’로 지정해 관리할 거야. 이번에 수원청개구리인 수구리가 멸종위기 생물로 등록돼 조금은 안심이야.지난 100년 동안 온도가 약 0.6℃ 올랐다. 온도 변화는 많은 생물을 사라지게 한다. 생물은 온도가 0.1℃ 오르면 50%, 0.3℃ ... ...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성공했다. 단순한 리트위트 기능과 달리, 투표 완료 버튼은 투표라는 구체적인 행동을 지정해주고, 그 결과를 알려 준다. 그리고 이 정보는 다른 친구에게 직접 영향을 미친다.페이스북 정보를 바탕으로 본 대선 후보세 명의 당선 가능성정치 분석 도구로서 페이스북의 가치는 국내 연구진에 ... ...
- 서경대 컴퓨터과학과 - 컴퓨터과학은 서경대가 진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전문적인 앱 개발 교육과 창업지원을 하고 있다. 인성 교육도 신경 쓰고 있다. 학생마다 지정된 전담 지도교수가 있어서, 졸업할 때까지 학업, 생활, 진로 등과 관련된 상담을 받는다. 졸업 후에는 관련 대학원으로 진학하거나 정보기술 업체를 포함한 다양한 직종으로 진출하고 있다. 주로 삼성전자 ... ...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과학동아 l2012년 12호
- 널리 알리는 과학지식 나눔의 장이다. 매주 금요일마다 서울, 부산, 대전, 광주, 대구의 지정 장소에서 연구과제 책임자들이 자발적으로 강연을 하고 있다. 취재 약속을 잡고 강연이 열리는 서울 정독도서관으로 향했다. 일반인을 비롯해 초, 중, 고등학교 학생까지 많은 사람들이 강연 장소를 가득 ... ...
- Bridge. 달갑지 않은 늑대가 되돌아와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일부 희귀 조류의 개체수가 최대 5배나 증가하는 등 부차적인 효과도 나타났다.보호종 지정최상위 포식자로 우리나라에 살았던 표범은 아무르표범이다. 주로 고라니, 토끼, 사슴, 너구리 등을 잡아먹지만 스라소니, 여우, 오소리 등과 경쟁하기도 하는 최상위 포식자다. 아무르표범은 러시아 극동 ...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산림을 태우는 것과 곰의 개체수 확인이다. “1~2년에 한 번씩 조사를 실시해 태울 산림을 지정하고 불태웁니다. 곰뿐만 아니라 사슴류와 키가 작은 다람쥐 같은 초식동물이나 산쥐 등까지 보호하는 종합적인 대책이지요.” 현지에서 만난 션 갤라거 연구원의 설명이다.관리 당국이 하는 연례 행사인 ... ...
- Part 2. 유기농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은 우리나라 정부가 전문기관(심사를 통해 지정한다)을 통해 인증하는 ‘친환경농산물’의 세 단계에 속한다. 단계로 보면 유기농산물이 가장 엄격하고 저농약농산물이 가장 너그럽다. 다시 말해 셋 중에는 유기농산물이 가장 친환경적이다. 하지만 ...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주민 반대가 심해서”라고 살짝 귀띔했다. 군사시설보호구역등 제약이 많아 보호지역 지정을 꺼린다는 말이다.장항습지는 지금은 한강유역환경청이 출입 허가를 내 주고 있다. 하루 두 번, 총 인원 40명까지만 출입 보름 전까지 허가를 받은 뒤 들어갈 수 있다. 이곳도 군사시설보호구역이라 ... ...
- 제9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 산호가 꽃 속에서 춤을 추네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올해 바이오 현미경 사진전은 충청북도, 충북대, 오송바이오진흥재단이 주최하고 국가지정 의학연구정보센터가 주관했다. 또 교육과학기술부, 동아사이언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창의재단, 21세기생명과학문화재단, 대한의학회, 한국미생물학회 등이 후원한다.당선작은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