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저서"(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트로이의 목마, 몸 속을 휘젓다과학동아 l2003년 11호
- 진화과정에 대해 연구해 온 에왈드 교수는 지난 2000년 출간돼 찬사와 혹평을 동시에 받은 저서 ‘병균 시대’(Plague Time)에서 암과 미생물의 연관성을 과소평가하는 기존 의료계를 비난했다.미생물이 암을 일으킨다는 사실은 1909년 프란시스 페이톤 라우스가 처음 발견했다. 라우스는 후일 라우스 ...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과학동아 l2003년 10호
- 임상학자의 협력으로 치료약을 발견했다 약물대사(해독기구)의 연구·개발뿐 아니라 저서《약리학의 기초》(1883)는 현재도 명저로 꼽힌다 구면상(球面狀) 위의 등면적(等面積)이 평면 네트 위에 등면적으로 투영되도록 고안된 등면적망(網)의 하나 3차원 방향에 관한 통계에 사용된다 W 슈미트가 ... ...
- 신경생리학으로 분석한 자살의 원인과학동아 l2003년 09호
- 강조한다.저명한 신경학자인 미국 아이오와대 안토니오 다마지오 교수는 최근 출간한 저서 ‘스피노자를 찾아서: 기쁨, 슬픔, 그리고 느끼는 뇌’에서 우울증은 우리 몸의 평형이 깨진 결과가 의식으로 나타난 상태라고 주장한다. 즉 척추나 뇌간, 시상하부 등 뇌의 원초적인 부분에서 일어나는 ...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과학동아 l2003년 09호
- 미분방정식을 푸는 데 활용했으며, 현(弦)의 진동에 관한 선구적인 연구를 했다테일러의 저서에 있는 것은 x=0인 경우에 해당하고, 오늘날「매클론린의 정리」라고 일컬어진다테일러급수라는 이름은 1755년 L 오일러가 붙인 것 이며, 그 중요성이 인식된 것도 후세에 와서이다1623~1662 프랑스의 수학자 ...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과학동아 l2003년 09호
- 의 형태를 가진다 미국의 동물학자 E O 윌슨이 1971년에 제창하고, 75년 동명의 저서로 전개한 학문체계 종래 별개로 추진되어온 개체군생태학·집단유전학·동물행동학, 동물사회의 비교연구 성과를 통합하여 각종 생물이 왜 각기 다른 사회관계(동종개체간의 관계)를 나타내는가하는 문제를 해명하여 ...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추위 모두에 어느 정도 견디는 대부분의 동물들과 다른 점이다.아쉬크로프트 교수는 저서 ‘극단에서의 삶’에서 인체 곳곳에 남아 있는 이런 진화의 흔적들을 제시했다. 인간의 피부에는 땀샘이 2백만개 정도 있다. 땀의 배출은 몸을 식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포유류에서 이 정도의 밀도로 땀샘이 ... ...
- 3 21세기 미라 냉동인간과학동아 l2003년 08호
- 죽음을 인터넷에 생중계할 정도로 괴짜였다. 1996년 병사한 리어리 교수는 사후에 출간된 저서인 ‘임종의 설계’(Design for Dying)에서 냉동보존으로 부활하는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리어리 교수의 경우에서 보듯이 인체 냉동보존술은 진취적 사고를 가진 미국 실리콘밸리의 첨단기술자들을 ... ...
- 국내 최고 논문왕 자랑하는 수학자 박세희과학동아 l2003년 07호
- 따라오지 못할 정도의 방대한 양이다.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수학관련 논문이나 저서를 가장 많이 쓴 학자는 누구일까. 바로 서울대 수학과 박세희 명예교수(67)다. 박 교수는 2백50여편의 논문, 17권의 저서, 17편의 국내해설논문, 50여편의 다양한 글을 썼고, 미 수학회에서 발행하는 ‘매스매티칼 ...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과학동아 l2003년 07호
- 천문대원, 1923년 동(同) 부대장(副臺長), 30~35년 대장을 지냈다 1510~1558 영국의 수학자 그의 저서《지식의 숫돌》(1577)은 영국 최초의 대수책이다산수책 《제술(諸術)의 기원》(1540~42경)은 1601년까지 18판을, 그후에 다시 11판을 거듭 했다 천문학에도 조예가 깊어 N 코페르니쿠스의 태양계설을 지지했다 ... ...
- 열역학의 시인 일리아 프리고진 타계과학동아 l2003년 07호
- 세계 각국에서 53개의 명예박사학위를 수여받았으며 1천여편에 이르는 학술논문과 20권의 저서를 집필했다.대한화학회 명예회원에 추대그는 과감한 개념 혁신과 깔끔한 수학적 해석으로 비가역 현상에 대한 열역학적 연구를 통해 과학적 사고방식에 새로운 지평선을 열었다. 그러면서 과학 간의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