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업일"(으)로 총 3,08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우와, 생각보다 정말 많은 여성 과학자들이 있었구나. 혹시 우리나라에는 어떤 여성 과학자분들이 계실까? 우리나라 여성 과학자들을 직접 만나봤어! ●“나노 물질의 독성을 연구하고 있어요!”_박은정(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융합건강과학과 교수)Q과학자가 되기까지 고생이 많았다고 들었 ... ...
- 노후 다리, 최첨단 기술로 관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노후 시설물을 그대로 두다간 정말 큰일이 벌어질 수도 있겠군. 그야말로 도시에 다이너마이트를 품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야. 노후 시설물이 무너지기 전에 미리 알아낼 방법은 없는 거야? 센서로 균열을 찾아낸다!다리 바로 밑의 좁은 통로를 위태롭게 걷는 사람을 본 적 있나요? 다리의 이곳저 ... ...
- 노후시설물, 와르르 무너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화려한 고층 건물이 넘쳐나는 번쩍번쩍한 도시에 노후 시설물이 이렇게나 많구나. 그런데 최근 노후 시설물 때문에 대형 사고가 발생했대! 예견된 참사? 이탈리아 다리 붕괴!지난 8월 14일 이탈리아 제노바 모란디 다리의 200m 구간이 무너져 내렸어요. 순식간에 차량 수십 대가 약 45m 아래로 떨어져 ... ...
- 구조성공! 잠수 위험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하루빨리 소년들을 동굴에서 탈출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기술들이 활용됐어요. 전세계의 수많은 인력과 기술이 총동원된 덕분에 수개월이 걸릴 수도 있었던 구조 작전이 고립 후 17일 만에 끝났지요. 과연 어떤 작전이 펼쳐졌을까요? 흙탕물에서 잠수를 하는 건 매우 위험한 일이에요. 따라서 동굴 ... ...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화가’라 하면 보통 미술관에 걸린 각양각색의 그림을 그리는 사람을 떠올려요. 그런데 야생의 식물을 전문으로 그리는 화가가 있어요. 바로 ‘식물세밀화가’지요. 식물의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이소영 작가님을 소개합니다! 식물을 그리는 사람차로 한 시간 반 정도 달려서 간 경기도의 ... ...
- [특별 기고] 아르마딜로가 눈 앞을 총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열대우림과 다양한 생물, 원주민이 사는 미지의 세계, 아마존. 아마존 탐험은 내가 죽기 전에 해 보고 싶은 ‘버킷 리스트’에 있었지만, 언제쯤 갈 수 있을지 모를 그저 꿈만 같은 일이었다. 그러다 문득 아마존에 가기로 마음먹은 것은 외국인 친구가 툭 내뱉은 한 마디 때문이었다. “왜 못 가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아저씨, 우리가 획득한 아이템이 뭔데요? 대체 아까부터 뭘 그리 계속 적고 계신 거예요?” 눈을 뜬 수호가 아저씨의 혼잣말을 듣고 따져 묻자 아저씨는 손사래를 치며 말했어요. “그런 거 아니야. 그저 아이템이 어떤 능력을 가졌는지 추측해 보고 있었던 거야.” [스토리 따라잡기] 상어 떼가 ... ...
- Part 3. 흰발 농게, 새집으로 이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한국엔 서식지가 점점 사라져 멸종위기에 처한 농게가 있다고 들었어. 이 농게를 위해 보금자리를 마련해 줬다는 소문이 있던데…. 정말이니? 흰발농게의 보금자리가 생겼어요!우리나라에는 서해와 남해에 걸쳐 붉은 집게를 지닌 ‘농게’와 흰색 집게를 지닌 ‘흰발농게’, 두 종류의 농게가 ... ...
- [팩트체크 2] 한반도에서 핵무기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우와~, 남한과 북한의 정상이 만나 올해 안에 종전 선언을 하기로 했다니…. 정말 남북관계가 한 걸음 나아간 건 확실해 보이네. 그런데 판문점 선언문을 보니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고 해. 이게 무슨 말일까?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사라지다!“셋, 둘, 하나, 쾅!”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3세대 항암치료’로 불리는 면역치료법을 개발한 두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암세포 자체를 제거하려고 한 기존 치료법과 달리 이들은 암 환자의 면역세포를 이용해 새로운 개념의 치료법을 제시했다. 하지만 3세대 항암치료가 등장했다고 해서 기존의 항암치료법이 중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