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세대학"(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물계통분류학 대이은 김훈수·김원 부자교수과학동아 l1993년 01호
- "아버님이 먼저 공부하신 동물계통분류학에 제가 공부한 분자생물학의 방법론을 도입, 이 학문의 기초를 확립하는데 대해 보람을 느끼고 있습니다." 김훈수(70·전 서울대 동물학과 교수)·김원(38·서울대 분자생물학과 교수) 부자 교수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동물계통분류학자로 불린다. 동물계통 ... ...
- 2 호르몬에서 항암제까지 얻는다과학동아 l1992년 12호
- 생물공학의 여러 분야중에서 가시적인 성과가 가장 두드러지는 의약품 부문은 미래에도 바이오테크놀로지 전반을 이끌 것이다.흔히 생물공학(바이오테크놀로지)은 돈많은 나라들의 학문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막대한 연구비와 인력이 장기간 뒷받침돼야 성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 있 ... ...
- (2) 새로운 시도 착실한 기능향상 돋보여과학동아 l1992년 10호
- 올해에 발표됐거나 새롭게 기능이 향상된(버전업) 공개 소프트웨어 가운데 사용자들의 인기를 모으고 있는 10가지를 골라 소개해 본다.21세기 워드프로세서「한글」독주에 도전문자의 확대가 자유롭고 모양이 미려하다.GUI(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환경과 윈도우방식으로 편집이 편리.그래픽 에디터 ...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과학동아 l1992년 09호
- 도시의 밤하늘 얼마나 오염됐을까? 5대도시를 중심으로 전국 11곳을 동시 관측해 그 결과를 비교했다. 현대인들, 특히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별보는 일을 포기한 지 오래다. 하늘을 바라볼 여유도 없으며 어쩌다 밤하늘에 시선이 가도 두터운 먼지층으로 뒤덮인 희뿌연한 하늘만이 멀건히 모습을 드 ... ...
-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1992년 05호
- 키는 너무 커도 너무 작아도 문제다. 특히 호르몬 등의 이상으로 비정상적인 성장이 이뤄지면…흔히 요즘을 장신의 시대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키가 큰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는 속설이 오래 전부터 널리 퍼지고 있다. 또 키 1cm가 커지면 한해에 20만원을 더 번다는 흥미로운 조사결과도 나와 있다. 1 ... ...
- 망원경제작의 1인자 이만성과학동아 l1992년 04호
- 그가 제작한 5인치, 7인치 막스토브 카세그레인과 12인치 슈미트 카세그레인 망원경은 우리나라에서 관측할 수 있는 성운성단의 모든 기록은 새롭게 할 예정이다.서쪽 지평선에 붉은 빛이 물들기 시작하면 우주로 향한 마음의 창을 조심스럽게 여는 사람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망원경 제작의 1인자' ... ...
- (4) 신설 전파공학과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2년 02호
- 위성통신 이동통신 등 통신산업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관련기업의 적극 지원에 힘입어 92년 수도권 7개대학에 전파공학과가 생겨났다.92학년도부터 고려대 광운대 경희대 아주대 연세대 한양대 홍익대 등 수도권 7개대학에 전파공학과가 새로이 생겨났다. 학부과정부터 전파를 특화해서 연구할 수 ...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과학동아 l1991년 10호
- 요즘 천문학자들은 모이면 한숨부터 쉰다. 천문학계의 유일한 연구기관인 천문우주과학연구소가 한국 표준연구소에 흡수통합될 위기에 처했기 때문이다. 지난 8월말 발표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능 재정립 및 운영효율화 방안'에 따르면 천문우주과학연구소는 적정규모(critical mass)미달로 평가 ...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과학동아 l1991년 06호
- 대한 기초연구와 단백질공학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필자가 소속된 연세대학교에서는 효소의 구조와 촉매반응 메커니즘, 콜레스테롤 운반과 관련된 단백질, 종양괴사 단백질, 단백질과 DNA의 상호작용, 단백질 생합성 메커니즘 등 기초연구가 중점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과학동아 l1991년 04호
- 이공계 유학생의 절대 숫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유학을 좋은 자리의 '자격증'으로 인식하는 풍토는 오히려 사라지고 있다.2만 2천5백48명.외무부가 집계한 90년 현재 학사과정 이상 이공계 유학생 숫자다. 89년 말의 국내 이공계대학(의약학계 포함)재적학생 수가 37만여명, 석사이상 대학원 학생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