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숫자로 보는 무인도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삼총사는 이름 모를 낯선 섬에 도착했어요. 황금빛 모래사장이 드넓게 펼쳐지고 바닷물이 반짝이는 멋진 섬이었어요. 키가 큰 나무와 우거진 풀숲 사이로 원숭이들이 뛰어다녔어요. 풍경 감상도 잠시, 나조아가 말했어요. “이렇게 멋진 곳에서 일주일을 보내다니 너무 좋다! 내가 이곳 무인도에 ... ...
- [매스크래프트] #14. 수학으로 표현한 사랑방정식, 나의 마음을 받아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나올 수 있어요. 다시 말해 x가 음수인 부분을 y축을 기준으로 선대칭 이동해 넘기면 숫자 3과 같은 모양이 되죠. 이렇게 만들어진 그래프에 -3을 곱해 방향과 크기를 바꿔주면 E와 같은 모양이 된답니다. 오늘은 밸런타인데이를 기념하며 사랑을 표현할 수 있는 식을 알아봤는데요. 제가 여러분께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1이 입력되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0 또는 2로 잘못 기록될 수 있다.정보를 단 두 개의 숫자로 표기해야 하기 때문에 저장 공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필요하다는 점은 단점으로 꼽힌다. 십진법으로 표기하면 ‘10’이라고 두 글자로 저장하면 되는 정보가 이진법에서는 ‘1010’이라고 네 글자로 표기돼야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쉽거든요.사과와 오렌지로 다시 돌아가면 두 과일의 색이나 모양 등을 나타내는 숫자 데이터들이 행렬 형태로, 다차원의 공간에 있습니다. 그런데 사과와 오렌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동그란 형태인지 아닌지’라는 질문은 사과와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4화. 2월에 태어난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그 수열을 이루는 숫자의 개수를 말하고요. 예를 들어 1, 2, 3, 4, 5라는 수열의 경우 각 숫자가 앞뒤로 1씩 차이 나는, 길이가 5인 등차수열입니다.그린-타오 정리는 한마디로 어떤 길이든 그 길이만큼 소수로만 이뤄진 등차수열이 항상 존재한다는 정리입니다. 예를 들어 5, 11, 17, 23, 29는 서로 차이가 6씩 ... ...
- JOB 돋보기, 어떤 일을 하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높은 농축액의 경우 섞는 비율이 0.1%만 달라져도 맛이 크게 바뀌어요. 이렇게 맛을 숫자로 표현하고 원재료를 어떤 비율로 섞는지 나타낼 때 수학이 쓰여요. 수학이 소스의 맛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어요 ... ...
- [이슈] 위기탈출! 세 단어 주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싶었어요. GPS 주소를 말하려면 “40.7127753, -74.0059728에서 만나”라고 해야 하거든요. 숫자보다는 단어가 기억하기 쉽죠. 어떤 단어가 어떻게 짝을 이루도록 했는지는 일급 비밀이랍니다. Q. 위치를 나타내는 일은 왜 중요한가요? 10~15년 전에는 모바일 지도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없으면 안 될 ... ...
- [이슈] 수학 잘하는 동물 모두 모여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과연 땅콩의 개수 차이를 파악해 더 많은 이득을 얻었을까요? 개코원숭이들은 숫자를 구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큰 수와 작은 수를 비교할 수도 있었답니다. 땅콩 수를 비교해 더 많은 땅콩이 든 컵을 가져갔죠. 그런데 컵 두 개에 든 땅콩 양이 2와 7처럼 눈에 띄는 차이가 날 때는 정답률이 75%에 이른 ... ...
- [스미스의 탐구 생활] 건전지, 전기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막대기에 연결했지요. 그리고 젓가락과 아연 막대 사이에 하얀 전선을 연결하면 시계에 숫자가 나타나요.이는 아연 막대기 속 아연이 귤의 시트르산과 만나 아연 이온으로 바뀌는 산화 반응을 일으킨 덕분이에요. 아연이 전자를 내놓으면 이 전자들은 전선을 타고 (+)극의 젓가락으로 이동했지요. ... ...
- [특집] AI가 바라보는 세상은 온통 행렬! 이미지 인식 AI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미지 인식 AI를 이용하는 나는 인간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봐. 모든 것을 숫자의 나열인 ‘행렬’로 인식하거든. 내가 어떻게 세상을 보는지 지금부터 알려줄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AI가 바라보는 세상은 온통 행렬! 이미지 인식 AIPart1.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