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평
바란스
밸런스
d라이브러리
"
수평
"(으)로 총 87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 궤도탐사선(MRO) 화성 궤도 진입 성공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의 벨트를 회전시켜 그 위에 재료 · 가공품 · 완제품 등을 운반하는 컨베이어이다주로
수평
면 또는 경사면에서 사용된다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본래의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전자장치 변복조기 또는 모뎀이라고도 한다통신회선을 사용하여 ... ...
신출귀몰 조류 인플루엔자(AI)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예이다북아메리카 서안(西岸)과 거의 평행하게 북서~남동쪽으로 뻗은 대규모의 단층
수평
으로 밀린 단층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며 길이는 1,000km 이상에 달하고 유사 이래 몇 번 이동하고 있다캘리포니아의 해안산맥을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이 단층은 1857년에 발생한 지진으로 로스앤젤레스 북방의 ... ...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미분방정식 물속의 미립자는 물분자와 층돌하여 불규칙한 운동을 한다그 운동의
수평
방향 속도 U(t)는 α를 마찰계수, B(t)를 브라운 운동이라고 하면 dU(t)= -aU(t)dt + λdB(t)로 표시되며 이 식에 따라 변동한다이 방정식은 복잡한 외력이 가해질 때의 운동을 기술하는데 적용되며, P 랑주뱅이 사용한 ... ...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태권V 몸통을 닮았다. 이 로켓은 18초 동안 224m를 수직으로 상승했다가 30초까지는 옆으로
수평
이동을 하였다. 그리고 수초 동안 공중에 머물다가 다시 땅으로 사뿐히 내려왔다. 총 비행시간은 62초였다. 지금까지 인류가 개발한 로켓 중 태권V와 가장 비슷한 비행을 한 것으로 보인다. 영화처럼 ... ...
2. 거대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비례해 증가하는데 그친다. 즉 로봇의 크기가 커지면 같은 재료를 사용한다고 했을 때
수평
방향으로 견디는 힘이 확 줄어든다. 따라서 거대로봇의 뼈대는 소형 로봇보다 훨씬 더 두꺼워야 한다.거대로봇을 설계하려면 소형 로봇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없고 현재와 미래 기술이 ... ...
로봇 물고기 로피를 소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한 단계 발전한 형태가 될 것”이라는 것이 김 교수의 설명이다.1.3은 아직 물 속에서
수평
으로 헤엄치는 정도지만 2.0은 기계적으로 더욱 복잡한 모델을 이용해 진짜 물고기처럼 위아래로 헤엄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다. 이를 위해 움직임을 3차원으로 제어할 수 있는 항공기의 항법 기술을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때보다 크게 보이는 현상 보통 전자는 후자의 3배 이상의 크기가 되는데, 태양의 경우
수평
선 위에서는 정오경보다 332배나 된다이 착시의 원인에 관해 여러 가지 설명이 있으나 현재는 물리적 현상은 아니며 방향(위치)에 따라 물체의 크기가 다르게 보이는 착시현상으로 간주되고 있다 1937년 A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남아 있다 오늘날의 다발기는 일반적으로 한 대의 엔진이 고장나도 나머지 엔진으로
수평
비행은 물론 이륙과 상승도 할 수 있어서 단발기보다 안전성이 높다 하나의 사건을 관측한 데이터의 변량이 여러 개일때 이것을 수학적으로 처리해 대상의 성질이나 변량의 상호 관계를 규명하는 통계적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러시아 측은 온건한 품성과 지적능력을 강조하고 있는 편이다.
수평
방 미터안에서 며칠간 생활하다 보면 스트레스로 인해 일어날지도 모를 사고와 불의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기본 자질이라는 것이다.이같은 선발기준의 엄격함은 4차에 걸친 선발과정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그는 놀라운 사실을 깨달았다. 망원경 속에서 밝은 별이 시야에 들어오면 모든 별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희미한 점 하나가 생긴다는 사실을 알아챈 것이다. 바로 밝은 별의 허상(ghost)이었다. 즉 그가 본 것은 실제 별이 아니라 밝은 별빛이 망원경 렌즈 면에 부딪쳐 만들어낸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