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울
수로
중앙
도읍
뱃길
배길
항로
d라이브러리
"
수도
"(으)로 총 1,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서울과 도쿄는 닮은 꼴 도시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룹은 소말리아의
수도
모가디슈처럼 아주 작은 구역이 흩뿌려진 모양이었다. 한국의
수도
서울은 어떨까. 도쿄와 함께 두 번째 그룹에 속한다. 서울과 도쿄가 형태적으로는 형제인 셈이다 ... ...
[Photo] 숨쉬지 않고도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거북의 상태에 따라 물고기는 살
수도
, 죽을
수도
있다. 물론 거북이 사냥에 실패할
수도
있다. 자기 삶은 각자 알아서 살 것.흘러가 보자그릇에 갇힌 물고기가 탈출구를 찾는 것 같다. 밖으로 나가는 흐름을 찾아 맴돌지만 결국은 제자리에 돌아올 뿐이다.난 애정이 많을 뿐, 싸움꾼이 ... ...
[fun] “질병 최전선에 있는 학자”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부작용이 검증되지 않았다. 그냥 두면 죽고, 개발 중인 치료제를 맞으면 죽을
수도
, 살
수도
있으니 일단 치료를 시작한 셈이다. 에볼라를 견뎌낸 사람의 혈액을 수혈 받으면서 상태가 호전됐다는 소문이 돌자 에볼라 생존자의 혈액이 암시장에서 비싼 값에 거래되고 있다고 한다. 여러모로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유골을 조사한 결과 구석기 시대 후기로 갈수록 사람들의 수명은 점점 길어졌어. 인류의
수도
확 늘어났지. 이 연구를 한 미시건대학교의 레이첼 캐스퍼리 박사는 아이를 낳자마자 먹고 살기 위해 환경과 싸우던 ‘부모’ 대신 남아 있는 조부모들이 아이를 키우고 여러 가지 생존 능력을 전해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사용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우리의 목표는 큐비트의 수를 늘려 엄청나게 큰
수도
소인수 분해에 성공하는 것이다. 단지 큐비트의 개수를 늘리는 것이 기술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이 문제다. 그런데 2011년 디-웨이브(D-WAVE)라는 회사가 128 큐비트로 만들어진 양자컴퓨터 ‘디-웨이브1’을 개발했다고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공룡의 다리와 발바닥 뼈를 발굴했다. 잘 하면 내부에 온전한 몸이나 두개골이 나올
수도
있는 화석이었다. 이융남 박사는 “화석 발굴의 정석”이라고 평했다. 직장인인 조범기 씨는 먼 고비사막에 오면서도 천체망원경을 챙겼을 정도로 과학에 관심이 많다. 발굴팀은 덕분에 별빛이 쏟아지는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영화다. 만약 명량해전에서 조선군이 패배했다면 일제강점기가 300여 년은 앞당겨졌을
수도
있다는 의견이 있을 정도로 조선의 역사를 바꾼 위대한 전쟁으로 손꼽힌다.영화에서 특히 주목할 장면은 이순신 장군이 단 12척의 배로 330척을 보유한 일본 수군을 무찌르는 부분이다. 그런데 이 장면은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탔다. 라이베리아 재무부에서 근무하고 있던 패트릭 소여는 6월 20일 나이지리아의
수도
라고스의 공항에 내린 뒤 쓰러졌다. 그는 라고스 시내의 유명병원에서 말라리아 치료를 받았다. 이 과정에서 의료진과 병원 관계자가 바이러스에 감염됐다. 라고스는 1300만 명이 사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훨씬 퍼진다”당장은 에볼라가 아프리카에서 꽤 퍼질 것 같다. 8월 17일 라이베리아의
수도
몬로비아에서는 곤봉으로 무장한 괴한들이 에볼라 치료소 문을 부수고 들어와 “에볼라는 없다”고 외치며 집기를 약탈해갔다. 괴한들은 환자의 타액과 혈흔이 묻은 담요와 매트리스를 가져갔고, 이 틈을 타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7~8시간 걸려 독도에 갔는데 파도가 심해 선착장에 배를 댈
수도
, 두 배를 붙일
수도
없었다. 바다에서 하룻밤을 보내는데 마침 명 소장이 타지 않은 배에 식량을 다 실었다.“다른 배에서 밥 먹는 걸 눈으로만 보면서 비상식량이었던 라면 몇 개로 버텼죠. 제가 원래 배멀미를 안 하는데 그날은 먹은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