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d라이브러리
"
반사
"(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중앙에서 두 팔의 끝 부분을 향해 양 갈래의 레이저를 동시에 발사하면 거울에 레이저가
반사
돼 같은 시간에 중앙으로 돌아오지요. 이때 중력파가 라이고를 지나가면 주변의 시공간이 휘어지며 순간적으로 두 레이저의 균형이 깨져요. 이 미세한 차이를 조사하면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답니다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꼭대기를 올려다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직각삼각형 두 개가 생깁니다. 이때 입사각과
반사
각이 같으므로 두 직각삼각형은 서로 닮음이 됩니다.그러므로 ‘거울부터 사람까지의 거리’와 ‘거울부터 나무까지의 거리’의 비는 ‘사람의 눈높이’와 ‘나무의 높이’의 비와 같습니다. 이를 이용해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잘 들어. 안 그럼 우리 가출할 거야!”어떻게 보이나요?사람이 뭔가를 보려면 물체에서
반사
된 빛이 눈의 표면을 덮고 있는 투명한 각막을 통해 눈에 들어와야 돼요. 각막을 통해 굴절된 빛은 동공을 통과하고, 수정체와 유리체를 거쳐 망막에서 상을 맺지요. 그럼 시신경이 망막에 맺힌 상을 뇌로 ... ...
[출동! 섭섭박사] 살아 움직이는 라바램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빛을 내는 물질이에요. 일반색소는 빛을 받으면 원하는 파장의 빛을 흡수하고 나머지는
반사
해 색을 내지요. 그런데 형광색소는 흡수했던 빛의 일부를 다시 빛의 형태로 내보내요. 그래서 일반 색소보다 좀 더 눈에 띄는 색을 내게 된답니다.형광색소는 물에만 녹는 물질이에요. 원하는 색의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훨씬 높고 멀리까지 꽃가루가 퍼진다는 얘기다.라이다★ 레이저를 쏘아 산란되거나
반사
되는 레이저가 돌아오는 시간과 강도, 주파수의 변화, 편광 상태의 변화 등을 재어 특정 물체와의 거리와 속도, 모양 등을 측정하는 장치.식물은 자손을 널리 퍼뜨리기 위해 이렇게 놀라운 전략을 선택했다. 온 ... ...
거꾸로 푸는 역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있다고 호언장담한다. 도대체 역문제가 뭐길래 이렇게 자신만만한 걸까?박쥐는 어떻게
반사
된 초음파를 듣고 주위 상황을 알 수 있을까? 두 블랙홀이 충돌하면서 나오는 중력파로 어떻게 블랙홀의 특성을 알아낼까? 이런 문제가 ‘역문제’에 속한다.우리가 지금까지 풀어본 문제는 대부분 방정식을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전리층은 태양 복사에너지로 인해 공기 입자가 이온화 돼 있다. 전파는 이런 전리층에
반사
되면 서 지구 먼 곳까지 전달된다. 그밖에도 플라스마 내에는 다양한 진 동현상이 존재한다. 플라스마에 자기장 을 걸어주면 플라스마가 특정 주파수로 진동하는데, 이때 같은 주파수를 가진 파 동을 ... ...
[과학뉴스] 수성이 빛나지 않는 이유는 ‘흑연’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수집한 적외선 스펙트럼과, 우주선(cosmic ray)에 실려 태양계에 들어온 뒤 수성에
반사
된 중성자의 양을 토대로 표면 성분을 분석했다. 그 결과 수성 표면에는 흑연의 원료인 탄소 성분이 풍부했다. 흑연은 다른 광물보다 다양한 파장의 빛을 흡수해 검게 보인다.이번 연구결과는 수성의 초기 형성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반지 모양으로 가장 바깥쪽의 반지름이 8.4m이다. 우주에서 오는 빛은 고리 모양 주경에
반사
된 뒤, 부경과 삼경을 거쳐 망원경 가운데 설치된 CCD 카메라로 들어간다.LSST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정체를 밝히는 것 외에도 다양한 천체를 관측할 예정이다. 첫 번째 세부계획으로 LSST는 밝기가 변하는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보낸다. 광자를 계속 보내면 1과 0으로 이뤄진 이진법의 수열이 나온다.광자가 통과할지
반사
될지는 알 수 없기 때문에 1과 0의 배열은 알 수 없다. 즉 진짜 난수가 만들어진다. 이진법의 수열은 묶는 방법에 따라 다른 진법으로 표기할 수 있으므로 매우 다양한 난수로 이뤄진 수열이 생긴다.이같은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