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팀목
장대
받침대
대들보
실린더
원통
지주목
d라이브러리
"
기둥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사막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광활한 소금사막 전체에서 인간의 손이 닿은 인공물은 ‘소금호텔’이 유일하다. 벽과
기둥
은 물론 내부의 탁자와 의자까지 모조리 소금, 즉 암염 덩어리로 만들어졌다. 관광객들은 직접 ‘소금집’의 맛을 확인한 뒤에야 꿈처럼 펼쳐진 하얀 풍경이 눈이 아니라 소금임을 다시금 실감한다 ... ...
번개실험으로 살펴보는 정전기 방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포일을 자른다.⑦, ⑧ 자른 알루미늄 포일을 풀을 이용해 하드보드지 위에 붙인다(나무의
기둥
은 알루미늄 포일 대신 종이로 잘라 붙인다).⑨ 고전압발생장치를 이용해 구름에서 번개를 발생시킨 뒤 번개의 경로를 관찰한다(불을 끄고 어두운 상태에서는 더 잘 보인다). 자동차와 나무 위에 있는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만든 것이다. 글리든이 살던 때만 하더라도 미국 목장의 울타리는 길게 줄지어 세운
기둥
에 철사만 둘러친 형태였다. 하지만 이런 울타리는 철사를 아무리 촘촘히 해놓아도 간혹 벌어진 틈 사이로 가축들이 쉽게 빠져 나가는 고질적 문제를 안고 있었다. 어느 날 글리든은 가축들이 가시가 있는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유를 알아내지는 못했다.다만 온도가 그보다 내려가면 역고드름이 성장하기 전에 얼음
기둥
의 구멍이 막혀 버리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간의 연구에 따르면 냉장고 냉동실에 넣은 아이스크림이 너무 딱딱해질 정도면 역고드름이 생성되기에 온도가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역고드름을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때 썼던 표준자로 그 기준은 1자 1치예요. 한 자는 약 30.303cm이고 한 치는 약3.03cm죠. 사각
기둥
의 네 면에는 길이가 다양한 자가 새겨져 있어요. 1430년 세종대왕이 도량형을 통일하기 전까지 각 자의 기준이 각각 달랐습니다. 세종대왕의 노력으로 자의 길이가 통일될 수 있었어요.암행어사의 유척에는 ... ...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있는 도리.*중도리 : 주심도리와 용마루를 받치는 도리 중간에 위치하는 도리.*처마 :
기둥
의 바깥쪽에 자리 잡은 지붕이나 그 아랫부분.*용마루 : 지붕 꼭대기에 기와를 쌓아 만든 작은 담.*범종 : 때나 시간을 알릴 때 절에서 쓰던 종.*Hz : 주파수 단위로 1Hz는 ‘1초에 한 번’을 의미한다. 즉, 100Hz는 ... ...
나무 연구가 한자리에! 국립산림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잘라 길이가 40㎝인 작은 나무판으로 만든 뒤 말려 여러 겹으로 붙인 재료다. 원목보다 긴
기둥
을 만들 수 있는데다 휘거나 둥근 모양으로도 만들 수 있다.똑똑한 재료2WPC테라스와 같이 비를 많이 맞는 곳에는‘WPC’라는 재료를 쓴다. WPC는 나무를 갈아 입자로 만든 뒤 플라스틱 물질과 섞어서 나무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지으려는 건물의 건평(건축 면적) 584m²(177평)는 사무실로 쓰기에는 다소 좁은 편. 내부에
기둥
을 없애는 대신, 벽으로 건물의 하중을 받아내면 내부 공간을 훨씬 넓고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망원경이 된 외벽 구멍콘크리트 외벽을 만들기로 결정하고 나자 이번에는 어떤 창을, ... ...
첨단토목기술 떠받치는
기둥
, 철강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더 길고 더 높은 구조물을 만드는 게 요즘 추세입니다. 강재(鋼材)가 점점 중요해지는 이유죠.”대한토목학회 강구조위원회 위원장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구조연구소 신재료활용기술연구단 윤태양 단장은 철강 예찬론자다. 돌과 나무가 주재료였던 토목분야에서 강재와 콘크리트의 등장은 혁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도로를 타고 움직일 수 있어. 그리고 건물과 건물 사이를 넓게 벌리거나 건물 1층을
기둥
만 남겨 놓고 시원하게 뚫어 준다면 바람이 움직이기 더 쉬워져. 도시 외부의 시원한 바람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이는 것도 도시에 바람이 솔솔 통하게 하는 좋은 방법이란다.찬바람을 만들자산이나 녹지, 강은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