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의실
교장
classroom
강연실
학급
d라이브러리
"
교실
"(으)로 총 798건 검색되었습니다.
러시아자연사박물관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러시아자연사박물관전은 보기만 하는 전시가 아냐! ‘어린이고생물학자체험
교실
’에 참여하면 진짜 고생물학자의 경험을 맛볼 수 있단다.커다란 공룡 입에서 사진을 찍고 3D영상과 그림으로 공룡과 맘모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느껴 보렴. 러시아자연사박물관 로즈노프 세르게이 부관장님은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덮는다. 이내 눈을 이리저리 돌리다가 무서워 눈을 꾹 감아버린다. 그리고 수업을 받던
교실
에서 누군가 ‘쥐다~!’라고 외치면 너도나도 책상 위로 올라간다. 쥐가 발등에 오르기라도 하면 기절해버릴 기세다. 두 눈으로 쥐를 확인하지 않아도 쥐가 출현했다는 말만으로 등골은 오싹하고 식은땀이 ... ...
생명은 어떻게 진화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자연사박물관전에서도 고생물학의 연구과정을 알 수 있는 ‘어린이 고생물학자 체험
교실
’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2008년 새해, 지구의 역사와 더불어 각 지질시대에 살았던 생물의 생태환경과 특징을 알고 싶다면 러시아 자연사박물관전을 관람해보자. 총 90여점의 크고 작은 진품 화석을 만나다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과거 속으로 1744년 8월 1일용불용설을 주장한 라마르크 출생프랑스 과학자 라마르크는 진화의 원리에 대해‘용불용설’을 주장했다. 용불용설은 자주 쓰는 기관 ... 10만 원권 등 비싼 지폐의 위조를 막기 위해 쓰일 수도 있다. 또 3차원 홀로그램으로 된
교실
에서 특별한 수업을 받을 수도 ... ...
만물의 영장 빚어낸 손가락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중지나 약지를 굽혀보면 팔의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연세대 의대 해부학
교실
이혜연 교수는 “신체부위를 움직이는 근육이 많을수록 정교한 동작이 가능하다”며 “손가락을 정교하게 사용하기 위해 손가락 각각의 근육이 팔꿈치 부근까지 발달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손가락에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소리가 울리는 ‘소음성 난청’ 증상을 보였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 영남대 예방의학
교실
사공준 교수팀이 한국예방의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개인용 음향기기를 사용한 13~16세 6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하루 4시간 이상 사용한 경우, 사용기간이 4년 이상인 경우, ... ...
과학의 힘으로 장애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세 가지 빛을 적절한 비율로 합성해 서로 다른 색으로 인지하는 것. 서울대 의대 안과학
교실
이진학 교수는 “색각장애는 유전적으로 또는 사고나 약물 때문에 추상세포가 손상돼 생긴다”면서 “세포가 모두 손상돼 색을 전혀 보지 못하고 명암만 느끼는 전색맹과 한 가지 세포만 손상된 적색맹, ... ...
PART2 환자맞춤형 줄기세포, 꿈은 이뤄지나?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미분화 세포인 줄기세포는 체세포와 달리 무한에 가까운 세포증식을 할 수 있고 특정한 기능을 가진 다양한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우리 몸의 각 조직에는 소량의 성체줄기세포가 있어 새로운 세포를 계속 만들어낸다. 예를 들어 피를 만드는 조혈줄기세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으로 분화할 ... ...
과학의 열정 무대에서 불사르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열기구까지 동원해 재미있게 보여주자 아이들의 반응은 뜨거웠다. 지난해 3월부터는
교실
의 임시무대를 떠나 서울과학관 1층에 있는 ‘사이 아트홀’에서 매달 2회 정기공연을 하게 됐다.첫 연극의 성공에 힘을 얻어 식물의 호흡과 광합성을 다룬 ‘나무와 태양의 비밀 이야기’, 빛의 반사와 혼합을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8 독일 태생의 인류학자 뮌헨 등의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한 후 스트라스부르 대학 해부학
교실
에 들어가 G 슈발베 교수 밑에서 혈액학(血液學)을 연구했다1921년 하이델베르크 대학 해부학 교수가 된 무렵부터 인류의 진화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에링크스도르프 출토 두개화석의 연구를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