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광고) 과학으로 우리의 삶을 바꾼 사람들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밀감(귤) 농사를 지을 수 있도록 장려했다. -김수지
교수
(1942~2016)이화여자대학교 명예
교수
한국의 나이팅게일이라고 불리는 우리나라 최초의 간호학 박사. 정신과 환자를 재활하는 ‘사람돌봄이론’ 개발 등 사람을 돌보고 살리는 일에 힘썼다. ● 과학기술유공자가 만화로! 우리나라가 과학기술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몸 속으로 떠나는 여행! 우리 몸 탐험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8호
결과 아메바에서 13종의 바이러스가 검출되며 바이러스의 존재를 알게 되었죠. 장 미셸
교수
는 “고대 바이러스가 온난화로 인해 깨어나면 코로나19바이러스처럼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밝혔어요. 이처럼 지구온난화로 인해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묻혀 있던 바이러스가 깨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 ...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이것’ 고려하지 못했다? 성차의학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실망스럽게 되묻던 것을 유쾌하게 기억했다. “성차의학은 설명이 되는 연구예요.” 김
교수
는 성차의학이 ‘맞춤의학’으로 가는 길에 있다고 설명한다. 여성과 남성의 차이에 주목해 더 깊은 의학적 지식을 쫓다 보면 그동안은 몰랐던 과학적 발견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국에서도 모두를 위한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쓸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장비를 만드는 부분이 특히 어렵다. 두 기능을 나누면 어떨까. 권
교수
는 “컴퓨팅은 클라우드에서 하고, 기기는 사용자의 눈에 공간을 보여주는 역할만 수행하는 개념으로 가야 한다”면서 5G, 6G 등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한 스트리밍 방식을 제안했다. “스마트폰이 ... ...
[디지스트 융복합파트너] 행동 제어 스위치 찾아 뇌질환 치료하는 그날까지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알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신경세포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현
교수
팀은 뇌전증을 앓고 있는 쥐에게 해당 기술을 적용해 뇌의 해마 영역에서 카이닌산(흥분성 아미노산의 일종)에 민감한 신경세포 집단을 찾아내고, 이를 표적으로 삼아 발작 증상을 억제했다. 그의 다음 ...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
과학동아
l
2023년 08호
경남 밀양시에서도 올해 말 준공을 목표로 나노융합산업단지를 준비하고 있다. 조
교수
는 “미래 4차 산업을 대비한 대학 교육의 혁신이 시작됐다”며 “스마트제조융합전공에서 기르고 배출하는 인재들이 경상남도의 내일을 이끌 것”이라고 확신했다 ... ...
영재가 허준이
교수
에게 물었다 “우리는 왜 수학을 해야 하나요?”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2022년 7월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
(한국 고등과학원 석학
교수
)의 필즈상 수상은 우리나라 청소년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요? 수학자나 과학자를 꿈꾸는 ... 영재 상담소Part7. 허준이
교수
도 깜짝! 이런 것도 물어봤다고?Part8. 영재가 전하고 싶은 말 “허준이
교수
님은 저의 ... ...
영재 136명의 질문 400개 전격 분석 “
교수
님도 수학 공부하며 지친 적 있나요?”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
[인생] 행복한 삶이란?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자주 듣지 않는 이유를 설명했어요. 넷플릭스 플레이리스트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허
교수
는 가족이 다 같이 모여서 일요일마다 넷플릭스를 한 편씩만 본대요. 그는 “아들이 마음이 아주 여려서 갈등이 많은 드라마나 영화는 물론 애니메이션도 잘 못 본다”며, “아이가 볼 수 있겠다 싶은 ... ...
허준이
교수
도 깜짝! 이런 것도 물어봤다고?
수학동아
l
2023년 08호
김범준 /한성과고 2학년Q.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의 피에르 페르마처럼 ‘허준이의 추측’ 같은 300년 난제를 만들어볼 생각은 없나요? 아마 만들 일이 없을 거예요. ... 서로 다른 분야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등을 잘 알고 있거든요. 이런 부분에서 생성형 AI가 지도
교수
역할을 할 수 있어요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