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공명정대
공진
정직무사
합치
공감
반향
d라이브러리
"
공명
"(으)로 총 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공명
의 한 예이다 그래서 기타의 몸체를 울림통 또는
공명
통이라고 하는 것이다 물론
공명
은 소리의 진동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큰 강의 양편을 (교각이 없이) 잇는 다리를 생각해 보자 그 위를 자동차 한대가 지나간다고 하면, 지나가는 위치에서는 자동차의 무게 때문에 그 높이가 다른 ... ...
뇌의 미로에서 출구를 찾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울면 엄마도 똑같이 고통을 느낀다고 한다. 그런데 이 때 두 사람의 뇌를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으로 촬영해보면 아이는 대뇌피질에서 물리적인 통증에 관여하는 부분과 아프다는 괴로운 감정을 느끼는 부분이 동시에 활발해지지만 엄마는 후자만 반응한다.그는 “도인의 경지에 이른 사람은 활활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것. 연구팀은 두 부류의 사람들에게 모르는 사람의 얼굴사진을 보여준 뒤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fMRI) 장치로 뇌를 찍어 비교해봤다. 실험결과 엄한 부모 밑에서 자란 사람들은 낯선 얼굴에 대해 편도체가 과민하게 반응했다.새로운 것에 대한 반응은 사람의 성격을 나누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미국의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대처 전 영국 총리와 미국 배우 메릴린 먼로를 합성한 사진을 보여주면서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fMRI)으로 뇌를 찍어 이 과정을 밝혀냈다.얼굴을 보는 순간 제일 먼저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뇌 뒤쪽 영역이 활발히 활동한다. 이 때 주름살 같은 부분적인 물리적 특징이 포착된다. 이어서 귀 바로 뒤쪽의 ... ...
냄새는 뇌가 맡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그러나 최근에 변화가 일고 있다.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과 자기
공명
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같은 뇌 영상 촬영 기술이 다양한 후각 작용에 대한 새로운 사실들을 속속 밝혀내고 있다.후각에 관여하는 뇌 부위에 대한 몇 가지 연구 중 후각을 담당하는 영역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소자만을 뜻한다 주로 마이크로파에서 사용되며 자기화된 페라이트 등 자성체의 강자성
공명
주파수 부근의 패러데이효과에 의한 자기투과율 텐서의 비대칭성을 이용하여 만든다 마이크로파 통신장치에서는 발진기의 출력선로에 넣어 외부 회로의 반작용을 억제할 때 등에 사용된다 플라스틱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움직임이 자유로워 더욱 소리를 잘 모을 수 있도록 돼있다.외이도는 한쪽이 막힌
공명
기와 같아서 외이도 길이와 모양에 따라 일정 주파수(대개 2.5kHz 부근)를 증폭해 주는 역할을 한다. 마치 빈 콜라병에 입을 대고 불면 낮은 음이 크게 들리는 것과 같은 원리다.내이는 몸에서 가장 단단한 뼈로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를 들을 때 뇌의 어느 영역이 활성화되는지를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fMRI) 장치로 찍어봤다. 그 결과 영어를 국어처럼 잘 알아듣는 학생은 측두엽 근처가 집중적으로 활성화됐다. 반면 영어를 알아듣기는 하지만 온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는 학생은 넓은 영역이 약하게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가장 기초가 되는 연구로 생각하면 된다. 보통은 X레이 산란이나 초고압전자, 핵자기
공명
현상이 측정에 이용되지만 하나로는 중성자를 이용한다. 중성자로 물질 구조를 밝혀내기 시작한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중성자를 이용해 물질을 연구한 선구자인 클리포드셜과 버트람 브록하우스는 그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제랄딘 도슨 박사팀의 연구결과는 위의 과정을 설명해준다. 연구자들은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법(fMRI)을 통해 얼굴을 인식할 때 자폐증인 사람의 뇌 활동을 분석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얼굴을 볼 때 방추이랑이라는 부위가 활성화되는데 자폐증 환자는 아래측두엽이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