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BOOK소리] 게임 속에 빠진다면? 인더게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전혀 아니거든?”둘의 다툼은 게임 속 몬스터들과의 전투로 오래 이어지지는 않는다. 결국 둘은 게임 속에서 서로를 의지하고, 서로의 다름에 대해 이해하게 된다. 에릭은 왜 이렇게 유치한지, 제시는 왜 생각이 많은지, 왜 하필 이런 상황에서 짜증나는 말을 하는지, 어떤 상황에서 눈물 짓는지…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고양이를 은하계 최고의 생물로 떠받드는 것이 맞다는 의견도 한 편에서 인기를 얻었다. 결국 우리우리스 종족은 견디다 못해 문제의 고양이를 그냥 원래 지구의 있던 곳으로 돌려 주고 오게 됐다. 그러나 그 사이에 우리우리스 종족이 지배하던 은하계 구역은 둘로 나뉘어 분열됐고, 그 틈에 ...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잘라서 붙이는 새로운 ‘수술법(surgery)’을 선보이며 구면과 위상적으로 같아지는 것은 결국 구면 단 하나라는 것을 증명해냈죠. 특이점이란 미분이 불가능한, 매끄럽지 않고 뾰족한 부분을 말해요. 3차원 다양체에 대한 푸앵카레 추측이 해결되면서 우주가 끊긴 부분이 없는 닫힌 3차원 다양체라면 ... ...
- 어느 행성에 살아보실래요? 입주 전 따져 볼 조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밤이 지속됩니다. 이는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구역이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국 K형 주계열성 혹은 질량이 작은 G형 주계열성 중 선택하시면 좋겠습니다. TIP4. 좁은 행성은 살기 힘들어요누구나 넓고 튼튼한 집에 살고 싶은 것은 당연지사일 것입니다. 행성에도 생명체가 거주하기 위한 ... ...
- AI 윤리│공정성을 보는 세 가지 시선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우리 사회 전체에 존재하는 여성에게 불리한 사회적 조건 전체를 비판하는 일이 된다. 결국 ‘공정’에 대한 규범적 판단은 모두의 지지를 얻는 것부터 논쟁의 여지가 다분한 주장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존재한다. 우리가 AI에게 요구해야 할 공정성 역시 이렇게 다양한 스펙트럼 안에서 어떤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어머, 너구리는 잠시 먹이를 찾으러 나갔어요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특정 사람만 따르는 각인 행동을 나타냈다. 야생으로 돌아가면 살지 못할 것이 분명했다. 결국 구조센터에서 ‘짬이’라는 이름을 얻어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구조센터엔 짬이 외에도 여러 마리의 너구리가 야생성을 잃은 채 생활하고 있다. 그중에는 모든 사람을 잘 따르는 ‘너울이’도 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물 분자가 빙정쪽으로 이동하는 거지요. 크기가 점점 커져 무거워진 빙정은 결국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져요. 이때 온도가 따뜻해 지상에 도착하기 전에 얼음 조각이 녹으면 비, 추워서 녹지 않으면 눈이 된답니다. 땅으로 떨어진 비나 눈은 강이나 지하수에 모여 바다로 흘러가요. 일부는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유추할 수 있는 특성을 끄집어낸 것이다. 개발팀은 이 편향 문제를 끝내해결하지 못했고, 결국 2017년 팀 해체와 함께 채용 AI 개발 프로젝트는 폐기됐다. 열 수 없는 블랙박스, 딥러닝AI 편향성 문제 해결에 가장 앞장선 건 세계적 정보기술(IT) 기업인 IBM, 구글, 페이스북이다. 유 교수는 “유럽연합(EU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소음, 소리로 잡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생기는 소음이에요. 기술이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완전히 안 나게 할 수는 없죠. 결국 소음을 나는 행위를 하지 않는 게 최선이에요. 하지만 소음을 안 낼 수 없는 만큼 소음이 크게 나는 활동은 정해진 시간에만 하거나, 소음이 덜 나는 활동으로 바꾸는 등 이웃을 배려하는 노력이 가장 중요해요. ... ...
- [JOB터뷰] 행복한 동물의 집을 짓는다! 마승애 수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수의사님이 도와주시긴 했지만, 야생동물의 몸은 가축동물과 달라 한계가 많았지요. 결국 치료 기술을 배우기 위해 동물원에 입사했어요. Q그때 에버랜드 수의사가 되신 거군요. 에버랜드에서 5년 동안 동물을 치료하다 보니, 동물들이 아픈 이유 중에 동물사가 큰 몫을 한다는 걸 알게 됐어요.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