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
과학동아
l
201201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만들기 어렵다. 한 덩어리에서 물건 하나가 나와 단색이라는
한계
도 있다. 그래서 모양이 복잡하고 알록달록한 물건은 쾌속조형방식으로만 인쇄할 수 있다.[미국 3차원 인쇄 회사 메이커봇의 씽오매틱에서 여인의 흉상을 인쇄하고 있다.]조립이 필요 없는 맞춤형 자전거미국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
를 뛰어넘다
과학동아
l
201201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과학동아 편집부로 한 통의 e메일이 도착했다.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로 시작한 메일은 동아리에서 작은 요트를 만들었고 시험운행을 끝마치고 이제 사람들에게 공개하려고 한다는 내용이었다.엥? 고등학교 과학동아리에서 요트를 만들었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
과학동아
l
201201
오리라는 예상이었다. 오늘날 이 예측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지만, 인구가 지구 자원의
한계
를 언제든 넘을 수 있다는 인식은 여전히 남아 있다.인류가 사용하는 자원, 에너지 양을 토지면적으로 환산한 ‘생태발자국’은 2010년 2.7gha(글로벌헥타르, 한 사람이 생존하기 위해 소모하는 지구 자원의 ... ...
예술이 예술인 물리적 이유
과학동아
l
201201
관을 다른 관에서 약간 빼거나 더 끼워 넣어 길이를 조절한다. 하지만 관을 늘이는 데는
한계
가 있어서 연주자는 빠르고 세게 공기를 불어 넣는 방법으로 한두 옥타브를 올릴 수 있다(오버블로잉).이 책은 물리에 대한 흥미와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에게는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공식을 쉽게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01
켜졌다. 인슐린은 소나 돼지를 도축할 때 췌장을 수거해 추출했기 때문에 생산량에
한계
가 있었기 때문이다. 제약회사들은 화학적으로 인슐린을 합성하는 방법도 생각했으나 아미노산 51개로 이뤄진 복잡한 생체분자를 합성한다는 건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때 재조합DNA 기술이 나왔으니 주목을 받지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
과학동아
l
201201
성적을 유지하자.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은 단순 수치로만 학생을 파악하는데서 오는
한계
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교과담당교사는 특별한 학생만을 기록하기 때문에 좋은 학습 태도로 수업에 임하고 좋은 성과를 낼 경우 좋은 기록을 받을 수 있다. 또 특정교과에 대한 열정과 잠재력이 드러날 수 ... ...
한 번 울린 노래도 다시 주울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3
판에 바늘로 새기고, 이를 다시 읽어내 소리로 되돌리는 방식이에요. 하지만 판의 크기에
한계
가 있기 때문에 많은 양을 녹음하기는 어려웠지요. 얇고 긴 자기 테이프를 개발하면서 녹음할 수 있는 소리의 양이 훌쩍 늘어났답니다. 카세트테이프가 바로 이 자기 테이프를 이용한 음성 저장 ... ...
과학으로 야구 한판! 삼진왕 vs 홈런왕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0
라이벌들은 오늘 두 선수의 대결을 어떻게 예상하는지 이야기를 들어 보겠습니다잉~.
한계
를 뛰어 넘어라!안녕하세요? 저는 무쇠팔 투수 *최동원이에요! 일곱 번 중 네 번을 먼저 이겨야 우승하는 우리나라 프로야구 결승전에서 혼자 4승을 거둔 세계에서 유일한 기록을 가지고 있지요. 투수의 어깨는 ... ...
1박 2일 백령도의 보물을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0
해. 실제로 지난 1973년에는 북한이 서해 5도 주변 바다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면서 북방
한계
선을 넘어와 우리나라 함정과 충돌하는 사태도 있었어.천연기념물이 6개!군사적 요충지인만큼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덕에 서해 5도는 깨끗한 자연을 자랑하고 있어. 특히 백령도는 약 10억 년 전인 원생대 ... ...
왕자님의 인어 찾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5
위해서는 호흡이 우선 해결되어야 한다. 잠수할 때 쓰는 공기통은 무게도 무겁고, 용량에
한계
가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물에 들어가 있을 수 없다. 그래서 개발된 것이 ‘생체 모방형 산소공급 호흡장치’! ‘인공 아가미’로도 불리는 이 장치는 날아다니는 물벌을 본떠 만들어졌다.인공아가미는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