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산타도 깜짝 놀란 착한 과학 선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현미경을 만들기도 했답니다.그 후 20년이 지난 지금, 마누 프라카시는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생물공학과 교수가 되었어요. 그리고 ‘프라카시랩’ 연구실을 만들어 어릴 적 꿈을 이루는 데 성공했지요. 종이 한 장과 전구, 렌즈만으로 현미경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거예요. 단돈 천원으로 살 ... ...
- 말과 코뿔소의 고향은 인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사실이니?최근 기제류 동물의 고향이 인도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켄 로즈 교수 연구팀은 2001년부터 인도 뭄바이 근처 석탄광에 있는 약 5000만 년 전의 신생대 지층을 조사했어요. 이곳에선 수많은 고대 생물의 뼈가 발견됐지요. 그 중에는 ‘캄베이테리움’이라는 고대 ...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길이가 가장 긴 곳은 4.1km로, 남산타워에서 성균관대학교까지의 거리와 비슷하다.혜성이 결정되자마자 과학자들은 탐사선의 궤도를 계산하기 시작했어. 이번 로제타 프로젝트의 목표 중 하나는 혜성의 꼬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내는 거거든. 혜성은 태양계 ... ...
- 찰흙으로 전기를 저장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얇고 변형이 쉬우면서도 용량이 더 큰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어요. 최근 미국 드렉셀공과대학교 유리 고고씨 박사 연구팀이 전기 전도성이 높고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바꿀 수 있는 ‘찰흙 전지’를 개발했어요.이 찰흙 전지는 ‘엠진’이라는 물질로 만들어졌어요. 엠진은 금속처럼 전기가 잘 ... ...
- 2014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미래의 생태학자들, 한자리에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대원들이 이뤄낸 큰 성과 중 하나는 과학논문이에요. 지사탐 대장을 맡고 있는 이화여자대학교장이권 교수님이 지사탐 활동으로 모은 수원청개구리자료를 분석한 논문을 생태정보학 국제학술지 ‘이콜로지컬 인포매틱스’ 온라인판에 발표했거든요. 또 지사탐의 활동을 바탕으로 곧 수원청개구리 ... ...
- 공룡 시대 가장 큰 포유류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움직이고 냄새와 소리에 민감했을 거라고 추정했어요. 연구를 주도한 미국 스토니브룩대학 데이비드 크라우즈 박사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종을 발견했다”며, “초기 포유류의 진화 과정과 계통 연구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 말했어요 ... ...
- 사람을 닮고 싶은 로봇의 꿈 인조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여러 시행착오를 거쳐 학습할 수 있는 4~6살짜리 지능을 가졌답니다.한편 미국 다트머스대학교 철학자인 제임스 무어 박사는 인조인간이 사람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인 판단을 내리기 때문에, ‘로봇 윤리’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해요. 만약 충돌사고를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한쪽에는 어린 아이가 ... ...
- 새들은 왜 일부일처제를 지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가장 멋있고 우아한 동물을 선택하라고 한다면 나는 단연 두루미를 뽑을 거예요. 어른 목까지 올라오는 훤칠한 키에 기다란 목, 그리고 쭉 뻗은 다리를 자랑하는 두루미는 다른 새들이 쉽게 넘볼 수 없는 자태를 지녔거든요. 두루미는 겨울철 논을 지나다가 보면 어렵지 않게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아버지, 프란시스 할젠아이스큐브 책임연구원, 미국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Q 어떻게 남극에 아이스큐브를 설치해 우주에 대해 연구할 생각을 했나요?A 빛의 입자와 닮았지만, 빛과 달리 벽을 뚫고 지나갈 수 있는 중성미자가 항상 궁금했어요. 그러다 1980년대에 막연하게 ‘남극 얼음 ... ...
- 거북은 복근으로 숨을 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3호
- 아프리카누스’ 화석이 발견됐어요. 남아프리카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 연구팀은 이 화석을 분석해 초기 파충류와 현재 거북이의 중간 단계 생물이라고 결론 내렸어요. 약 2억 6000만 년 전에 살았던 유노토사우루스는 갈비뼈가 거의 맞닿아 있어 몸통이 납작하고 평편해요.놀라운 것은 ... ...
이전4754764774784794804814824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