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자"(으)로 총 18,9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유해물질 감지하는 컬러 센서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광주과학기술원 송영민 교수가 이끈 공동 연구팀이 유해물질을 감지하면 색이 변하는 센서를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바이러스 ‘M13박테리오파지’ 표면에 있는 단백질의 유전자를 변형해, 벤젠이나 아세톤 같은 유기화합물이나 환경호르몬에 반응하도록 만들었어요. 이후 가로세로 수 cm 면적의 ... ...
- [만화뉴스] ‘겨땀’ 냄새의 원인을 찾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영국 요크대학교 미생물학과 개빈 토머스 교수팀은 액취증을 유발하는 핵심적인 효소 물질을 발견했다고 7월 28일 발표했어요. 액취증은 겨드랑이에서 악취가 나는 증상으로, 겨드랑이에 살고 있는 세균이 땀을 분해해 악취를 내는 화합물을 만들기 때문에 나타나요. 연구진은 이전 연구를 통 ... ...
- [과학뉴스] 망간에서 에너지 얻는 미생물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 지질행성과학과 제러드 리드베터 연구원이 이끈 연구팀은 망간에서 에너지를 얻어 사는 세균을 발견했어요. 그동안 과학자들은 이러한 미생물이 존재할 거라고 예측했지만, 실제로 발견한 건 이번이 처음이에요.재미있게도 이번 발견은 우연한 상황에서 일어났습니 ... ...
- [BOOK소리] 만화가와 편집자가 고른 수다의 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여겨지던 이 만화는 2015년 인기리에 막을 내렸어요. 책 출간을 기념하며 당시 담당 기자였던 김정 편집장과 홍승우 작가님이 수다를 나눴어요. 함께 책을 들고 만화 컷컷을 들여다보며 긴 수다에 빠졌죠. 만화가와 편집자가 고른 수다의 순간을 공개할게요 ... ...
- 대벌레 떼의 등장! 다 이유가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대벌레는 생각보다 나쁜 곤충이 아니라고요! 저! 대벌레 기자가 대벌레에 대한 오해를 풀어드리겠습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대벌레 떼의 등장! 다 이유가 있다고?Part1. [기획] 봉산을 점령한 대벌레?!Part2. [기획] 대벌레! 왜 이렇게 많은 거야?Part3. [기획 ... ...
- [기획] 대벌레! 왜 이렇게 많은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대벌레는 사람의 손길이 잘 닿지 않는 깊은 숲속에 주로 삽니다. 그런데, 올해 왜 이렇게 많은 대벌레가 모습을 드러낸 걸까요? 거기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운이 조금 좋았다고나 할까요…? 유난히 따뜻했던 겨울, 유난히 추웠던 봄!봉산에 대벌레 떼가 나타난 원인으로는 날씨, 천적, ... ...
- [출동!기자단] 사탕 뺏기 게임의 승자는 누구? 달려라, 지니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7월 27일 충청남도부터 경기도와 서울까지, 전국 각지에서 온 세 명의 독자 기자가 한자리에 모였어요. 장소는 코딩로봇 ‘지니봇’이 탄생한 경 ... 눌러 앞으로 전진시켜야 하지요. 독자 기자들은 어려운 사투를 벌였고, 결국 이도훈 독자 기자가 가장 많은 사탕을 차지해 승리했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8월 20일이 ‘세계 모기의 날’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혹시, 세상에서 사람을 가장 많이 죽이는 동물의 정체를 아시나요? 호랑이? 상어? 정답은 바로 ‘모기’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모기는 매년 약 72만 5000명의 목숨을 빼앗아요. 인간을 제외한 위험한 동물 2위인 뱀의 피해자 수(약 5만 명)보다 14.5배나 많은 수치죠.모기가 위협적인 이유 ... ...
- [한 장의 과학] 실수로 탄생했다?! 이종교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 이종교배 물고기 스터들피시(위)는 러시아 철갑상어(아래 왼쪽)와 미국 주걱철갑상어(아래 오른쪽) 사이에서 태어났다. 맨위 사진 속 생물의 생김새를 관찰해 보세요. 뾰족한 주둥이와 등에 난 돌기가 아래 사진의 두 생물을 반씩 섞은 것 마냥 닮았죠?! ‘스터들피시’란 이름의 이 생물은 실 ... ...
- [과학뉴스] 정자 운동, 좌우가 아니라 회전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잠시 머릿속으로 정자를 떠올려 보세요. 아마도 성교육 시간에 본 영상 속에서 꼬리를 힘차게 좌우로 움직이며 난자를 향해 나아가는 모습이 생각날 거예요. 그동안 우리는 정자가 장어처럼 꼬리를 좌우로 움직이며 앞으로 나아간다고 생각했어요. 왜냐하면 1677년 네덜란드 과학자 레벤후크가 ... ...
이전4754764774784794804814824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