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할 때보다 감응도가 100배 이상 좋아졌다. 장 교수는 이 연구로 올해 7월 ‘이달의 과학기술자상’을 수상했다.연구원들도 나노 고분자에 푹 빠져있다. 고분자재료연구실에서는 석사과정 연구원들도 국제 수준(SCI급)의 논문을 다섯 편씩 쓰고 졸업한다. 연구원 생활 동안 ...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들고 앞뒤로 거리를 조절하며 문을 비춰 보세요. 그림자가 만든 열쇠가 보이나요? Stage 7 통조림 공장을 탈출하라!우리는 룽지를 데리고 서둘러 나오고 있었어. 그런데 들어올 땐 잘만 열리던 문이 아무리 밀어도 열리지 않는 거야!“니야옹~, 섭섭박사 없다옹~.”이건 무슨 소리? 문틈으로 보니 ... ...
- 피라미드 안은 보물 천국?!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여기뿐인데….”‘집이 7채, 고양이가 49마리, 쥐는 343마리, 보리이삭이 2401개, 곡식이 16087되. 그리고 19607. 이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설명하여라.’“누구야? 누가 또 있어요? 뭐지? 선생님, 이상한 목소리를 들으셨죠? 어? 여기 그림이 있는데요. 이걸 설명해야 하나 봐요.”“도형아~, 빨리 뭐라고 .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OUT"기술표준원은 올해 2월 21일부터 크레파스, 파스텔, 물감, 색종이, 찰흙을 포함해 총 17종류의 문구에 대한 안전기준을 강화했어요. 중금속과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넣을 수 있는 비율을 크게 낮추고 향기나는 펜이나 지우개 등에 들어갈 수 있는 향료 중 독성이 있는 물질은 사용하지 못하도록 ... ...
- Part 2.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글자와 소리는 이보다 더 많았겠지. p.s)원래 세종대왕이 처음으로 한글을 만들 때는 17개의 자음과 11개의 모음으로 지금보다 4개가 더 많았어. 모음 하나(•)와 자음 3개(ㅿ,ㆆ,ㆁ)가 더 있었지. 모음 중에서도 기본이 되는 ‘•(아래 아)’는 한글이 만들어질 때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어. 그리고 자음 ...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됐다. 지성이네 반은 10분씩 4번의 경기를 하는 세 번째 방법을 선택한다. 지성이네 팀은 7명으로 가장 농구를 잘 하는 한 친구가 2분을, 나머지 6명이 3분씩 쉬면서 경기에 참여한다. 나름대로 수학적으로 공평하게 농구를 즐길 수 있게 한 것이다.수학을 기본으로 구성된 스포츠100m 달리기, 400m 자유형, ... ...
- 승리의 방정식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생각하지 않은 결과일 수 있다.9명의 타자로 타순을 짜는 경우의 수는 무려 36만 2880(=9×8×7×6×5×4×3×2×1)가지나 된다. 야구 감독은 이 중에서 단 한 가지의 타순을 정해야 한다. 최고의 승리 방정식을 찾기 위해 수학자의 도움을 받는 건 어떨까?야구에 유리한 손 있다왼손 타자는 공을 친 다음 1루까지 ... ...
- 지구가 뿔났다? 아이슬란드 화산 대폭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않은 게 다행이야. ▲ 노르웨이까지 날아와 하늘을 덮은 화산재의 모습.루시(Lucky_Lucy77) 2010.04.25. 접속 위치: 영국 런던.안녕, 인천국제공항에서 이제 막 집에 돌아온 루시야! 한국으로 수학여행 갔다가 비행기가 날지 못하는 바람에 그 동안 우리나라로 돌아오지 못했단다. 흑흑, 이게 무슨 꼴이람 ... ...
- Part 3.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요즘 시대에 한자를 입력하는 속도와 한글을 입력하는 속도를 비교하면 한글이 무려 7배나 빠르다고 해.이번엔 영어와 비교해 볼까? 영어는 자음과 모음이 번갈아 나타나는 규칙이 없어서 한 손으로 여러 번 자판을 입력하는 일이 생기기도 해. ‘READ’란 단어를 입력하려면 왼손으로만 연달아 4번 ... ...
- PART 1 수학이 사라진 아침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많은 지성이는 학교에 늦지 않으려고 탁상시계와 휴대전화를 이용해 매일 아침 7시에 알람이 울리도록 맞추고 잔다. 그런데 머리맡에 놓여 있던 탁상시계와 휴대전화가 조용했다. 그에게 새롭게 생긴 수학방해파 때문이다. 아니 수학과 시계가 무슨 관계? 또 휴대전화는? 요즘 탁상시계는 태엽을 ... ...
이전4744754764774784794804814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