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태양계 밖 외계 행성 첫 발견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생각하면 된다.볼츠만 박사는 지난 3년간 PSRB1257+12를 관찰해오면서 이 펄사가 1백만분의 6초마다 한번씩 펄스 신호를 방출하는 것을 알아냈다. 그는 이 펄스 신호가 지구에 도착하는 시간이 일정한 유형으로 조금씩 달라지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관찰중인 펄사 주위를 선회하는 물체들이 있음을 ... ...
- 우주 팽창·수축의 열쇠, 암흑물질과학동아 l1994년 06호
- MACHO(Massive Astronomical Compact Halo)라고 한다. 별이 일생을 다하고 사라질때 생성된 백색왜성, 초신성폭발로 남긴 중상자 별이 차갑게 식어버린 잔해, 또는 블랙홀들이 암흑물질을 구성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모두 합해도 현재 우리 눈으로 보고 있는 '밝은 물질'의 10배에 ... ...
- 톱쿼크 발견 임박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이렇게 매우 높은 에너지까지 가속된 양성자-반양성자들은 정해진 충돌지점에서 초당 약 6만번 충돌을 하게 돼 충돌 후의 여러 물리적 현상이 관측되는 것이다.충돌이 일어난 후의 여러 물리현상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거대한 검출기가 필요하다. 이는 충돌 후의 결과를 빠짐없이 검출하기 위한 ... ...
- 1. 지구질량 318배, 수소·헬륨의 가스행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약 8백50-1천6백Å 파장대의 수소분자 방출선으로 이루어졌다. 이 오로라의 밝기는 1㎠당 1초에 ${10}^{11}$개의 광자가 방출하는 막대한 양으로 목성 전체의 출력량은 무려 ${10}^{13}$W다. 지구 전체 오로라 출력의 1천배나 된다. 우리나라 전력 소비량이 약 1천만 kW라 할 때 무려 1천배에 해당하는 출력이다 ...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과학동아 l1994년 05호
- 드 브로이의 파격적인 주장은 전자의 회절실험을 통해 드라마틱하게 입증되었다. 애초에 호이겐스가 한 빛의 간섭실험을 전자로 반복해 보면 전자 역시 간섭현상을 보인다. 에너지의 알갱이인 전자라는 입자가 파동현상을 보이는 것이다.빛의 간섭 실험방법은 간단하다. 우리는 빛 대신 전자를 한개 ... ...
- 생물 - 마이크로 세계 신비에 도전, 전자현미경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완전한 새 파지가 생성되어 나온다.여러분은 평생 숫자를 몇까지 셀 수 있을까? 만약 1초에 1을 세는 속도로 센다면 과연 얼마의 수를 셀 수 있을까? 25억을 세는데 소모되는 시간은 무려 70년 정도가 된다. 먹지도 않고 잠도 자지 않고 계속해서 세어도 이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세균은 환경 조건이 ... ...
- 3. 전자보다 1천배고속 21세기 광자시대과학동아 l1994년 05호
- 광자식 교환기, 지능형 가전제품, 그리고 교육 문화 예술 영상 의료 해양 우주 등 곳곳에 초고속 대용량 정보처리와 특수기능을 가능케 하는 폭발적이고 회기적인 계기들을 만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21세기 광자과학과 광자기술에 있어서 가장 영향력이 많은 연구대상의 하나로 손꼽히고 ... ...
- 터빈없는 발전기 MHD과학동아 l1994년 05호
- MHD 선박에 실릴 길이 6.3m 무게 1백80t이나 되는 거대 초전도자석을 개발 중이다. 이 초전도자석을 이용하면 지름 50㎝ 터널에 매분 9만5천 L 씩 바닷물을 통과시킬 수 있다.MHD에 관한 한 선두주자로 자부하는 러시아에서도 잠수함에 이 시스템을 채용할 것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1. 태고의 유인원, 2천3백만년 전 첫 출현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이미 시몬스와 필빔도 견해를 수정한 바 있다. 사람이 직립보행하게 된 이유 초기 마이오세, 즉 약 1천7백만년 전에서 마이오세의 후기로 오면서 호미노이드의 종류는 점점 줄어들게 되고 약 1천만년 전에서 5백만년 전의 기간은 거의 화석자료가 남아 있지 않다. 그런데 마이오세의 중엽에는 ... ...
- 4. 한국인의 뿌리, 아프리카 현생 인류과학동아 l1994년 05호
- 진화해 다시 호모 사피엔스로 진화했을 것이라는 다원발생설, 흔히 '캔들라브라 모델'(초를 꽂는 접시가 여러 개 있는 촛대)이라고 부르는 설을 믿고 있었다.이 모델은 유럽도 현생인류의 발상지중의 하나일 것이라는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사실 40만년 전에서 50만년 전 이후가 되면 완전한 ... ...
이전474475476477478479480481482 다음